세종형 대중교통 정액제 이응패스가 도입 1년 만에 대중교통 이용률 증가에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세종시에 따르면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세종연구실이 수행한 '이응패스 도입 효과 및 요금 특성 분석' 연구와 전문 여론조사기관에서 시민 101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9월 이응패스를 도입한 이후 시의 하루 평균 대중교통 이용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이응패스에 가입한 설문 대상자 75%가 '대중교통을 더 자주 이용하게 됐다'고 답했고 61%는 '자가용 이용이 줄었다'고 답변했다.
대중교통 이용이 늘어난 이유로 응답자 72%가 '이응패스 도입'을 꼽았다. '무료 환승제도(9%)'와 '버스노선 개편(6%)'이 뒤를 이었다.
이응패스 이용자들의 평균 환급액은 매달 2만 4천 원 수준으로, 유료 가입자는 실질적으로 1만 5천 원의 교통비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이후 자가용 차량 운행이 하루 5천 대가량 줄면서 연간 약 40억 원의 교통사고 비용이 절감되고 6억 원 상당의 대기오염 감소 효과가 발생했다는 결과도 얻었다.
도심 교통혼잡 완화와 통행속도 개선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편익도 확인됐다고 시는 분석했다.
지역경제에도 긍정적 파급효과가 나타나며 이응패스로 절감한 교통비를 생활비(50.3%)와 여가·취미활동(14.2%) 등에 재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앞으로 버스 노선과 배차 간격을 최적화하고 어울링과 수요응답형버스(DRT) 등 다양한 교통수단과의 연계를 강화해 이동 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최민호 시장은 "이응패스는 시민의 교통 편의를 높이는 동시에 지역 경제와 환경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8월 기준 유료 1만 5713명, 무료 2만 2696명 등 모두 3만 8409명이 이응패스를 이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