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학살 주범 '함병선 공적비' 발견…4·3 단체 반발

제주4·3기념사업위 성명…"4·3 왜곡 단호히 조치해야"

제주4·3 학살 주범으로 알려진 함병선 제2연대장의 공적비가 도내 한 군부대 인근에서 발견됐다. 제주4·3범국민위원회 제공

제주4·3 당시 대규모 학살에 앞장섰던 인물로 알려진 함병선 제2연대장의 공적비가 도내 한 군부대에서 발견돼 4·3 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며 4·3 왜곡에 대해 단호히 조치할 것을 촉구했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 등 도내 52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제주4·3범국민위원회는 16일 성명을 내고 "제주4·3 학살 주역인 함병선 비석에 올바른 안내판을 즉각 설치하라"고 요구했다.

이 단체에 따르면 제주4·3 당시 제2연대장인 함병선 공적 기념비가 제주시 모 부대 인근에 세워져 있다.

함병선은 1948년 12월부터 제주에 주둔하면서 4·3 대규모 학살이 이뤄졌던 시기에 지휘 체계 최정점에 있던 인물이다. 당시 군법회의 최고 책임자였다는 기록도 있다.

이 단체는 "함병선은 대전 현충원 장군 묘역에 안장돼 있다. 4·3 학살의 주역이 국가의 공적 공간에서 추모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특히 제주 섬에 그들을 추모하는 비석들이 버젓이 존재한다는 것은 4·3 왜곡의 또 다른 증거"라고 비판했다.

특히 "박진경 대령 추도비 등에 대해 철거가 아닌 객관적 사실을 적시한 안내판 설치를 요구해 왔지만 몇 년째 '검토 중'인 상태로 머물러 있다"며 "4·3진상조사보고서를 비롯한 공인된 기록들과 객관적인 연구와 언론보도가 이미 존재해 좌고우면하며 오래 걸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이상 4·3 왜곡과 폄훼는 다양한 관점의 존중이라는 미사여구로 미화돼서는 안된다"며 "오영훈 도정은 이제 말의 성찬이 아닌 4·3 왜곡에 대한 구체적인 행정행위에 나서줄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제주4·3 왜곡 현수막이 도내 곳곳에 내걸리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4·3을 폄훼하는 영화까지 관람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도민사회 분노가 커지고 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