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가 2026년 국가예산 확보에 돌입했다. 전북도는 'AI 기반 차세대 엑소좀 기술·표준화 개발'과 '중이온 발생용 사이클로트론 연구시설 구축' 등을 건의한다.
김관영 지사는 16일 도청에서 '2026년 국가예산 국회단계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정부안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거나 빠진 70대 중점 사업의 국회 증액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 도는 국회 심의 단계에서 핵심 사업 예산이 반드시 반영되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할 방침이다.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핵심 사업들이 최우선 건의 대상이다. 특히 반도체, 우주항공 등 미래 첨단산업의 기반이 될 핵심 연구시설 구축 예산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은 '기초 연구 인프라(70MeV 중이온 발생용 사이클로트론) 연구시설 구축' 사업이다. 정읍시 첨단과학산업단지에 들어설 이 시설은 극한 환경에서의 방사선 영향을 검증하는 인프라로, 총사업비 2500억 원 전액 국비로 추진된다. 전북도는 2026년 기본 및 상세 설계비로 국비 30억 원을 우선 반영해달라고 건의하고 있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남원시에서 추진될 'AI 기반 차세대 엑소좀 기술·표준화 개발' 사업이 핵심이다. 식물 유래 엑소좀을 활용한 신약 개발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 400억 원 중 2026년 연구개발 및 장비구입비로 국비 40억 원을 요청했다.
이 외에도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27억 원) △새만금산업단지 내 공공폐수처리장 신설(5억 원) △새만금 국가정원 조성(5억 원) 등 새만금 내부 개발을 촉진할 핵심 사업 예산 확보에도 주력한다.
전북도는 목표 달성을 위해 국회 상주반을 운영하며 심사 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기획재정부 장·차관과 예산실장 등 핵심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사업 타당성을 집중적으로 설명할 계획이다. 또한, 이달 30일 지역 국회의원들과 예산정책협의회를 여는 등 정치권과의 '원팀 공조'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김관영 지사는 "국회단계는 국가예산 확보의 마지막 관문"이라며 "도와 시군, 정치권이 한 몸처럼 움직여 남은 기간 최선의 성과를 만들어내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