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년 내 수도권 신축매입임대 7만 호 착공"

국토교통부 이상경 1차관은 16일 서울시 동대문구 답십리동에 위치한 오피스텔을 공급하는 신축매입임대 현장을 찾아 사업을 점검했다. 국토교통부 제공

정부가 '9·7 부동산 대책' 방안 중 하나인 수도권 내 신축매입임대 14만 가구 공급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수도권 내 신축매입임대 14만 가구 착공 계획을 적극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전체 14만 가구 중 7만 가구는 향후 2년 이내에 착공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단기간 내 가시적인 주택공급 성과를 보이겠다는 취지다.

신축매입임대는 민간의 신축주택 건설 전에 매입약정을 체결하고, 건설 후 공공주택사업자가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국토부는 특히 2년 내 착공하는 신축매입임대 7만 가구 중 90% 이상은 주거 여건이 좋은 오피스텔·아파트·도시형생활주택 등을 중심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매입대상은 오피스텔, 아파트,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다가구주택, 다중주택, 단독주택 등이다.

신축매입임대는 매입 약정을 통해 공공이 도심 등 우수한 입지 주택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약정 후 신속한 공급이 가능하다. 이에 도심 내 주택공급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빠른 공급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수단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올해부터 착공 단계 인센티브(매입대금의 최대 10% 선지급)를 도입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내 '조기착공지원팀'을 신설해 현장 중심의 사업관리를 강화하는 등 공급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신축매입입대 약정체결 건수는 2만 4천 가구다. 지난해 4분기에 실적이 집중된 것과 달리 올해 들어 약정체결 건수가 약 10배 증가했다.

한편 국토부 이상경 1차관은 이날 서울시 동대문구 답십리동에 위치한 오피스텔을 공급하는 신축매입임대 현장을 찾아 사업을 점검했다.

이 현장은 올해 3월 매입약정을 체결했으며, 이달 중 매매계약을 체결해 4분기 중 입주자 모집 공고를 통해 신혼부부 대상 공공임대로 공급할 예정이다.
 
이 차관은 "신축매입임대는 도심 내에서 신혼부부·청년층 등이 선호하는 우수한 입지 주택을 신속하게 공급하는 방안"이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우수입지 내 고품질 주택을 중심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 안정을 조기에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