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2차 사고 40% 급증…예방시스템 설치는 '찔끔'

16일 국회에서 열린 한국도로공사 국정감사에서 함진규(왼쪽)이 박용갑 의원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방송 갈무리

최근 5년새 고속도로 전체 교통사고는 줄었지만 2차 사고는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 한국도로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834건인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2024년 1573건으로 14% 감소했다.

같은 기간 2차 사고는 51건에서 70건으로 약 40%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2차 사고 치사율은 44.3%로 전체 사고 평균(10.1%)의 4.4배에 달했다.

사고 원인을 보면 주시 태만이 53건(76%), 졸음 운전이 11건(16%)으로 전체의 90% 이상이 운전자의 인지 지연으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예방시스템 설치율은 걸음마 단계다.

도로공사는 2차 사고 예방시스템을 올해 9월에서야 도입했다. 설치 구간은 서해안선 서울방향 296.2~296.7㎞로, 길이 500m에 불과하다.

이는 도로공사가 관리하는 전국 고속도로 총연장 4397㎞의 0.01% 수준이다.

이 시스템은 운전자가 사고나 고장으로 갓길에 정차했을 때 버튼을 눌러 주변 500m 구간에 적색 점멸등을 점등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차량에서 벗어나 직접 버튼을 누르는 식이어서 예방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박용갑 의원은 "2차 사고는 시야 확보가 어렵고 구조적인 위험이 커서 치사율이 매우 높다"며 "도로공사는 다각도의 대책을 검토해 종합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함진규 도로공사 사장은 "말씀하신 대로 2차 사고에서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다. 예방을 위해 긴급대피콜 운영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고 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