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0일 "'방위산업 4대 강국'은 결코 불가능한 꿈이 아니다"라며 "정부는 국방 개혁에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 2025)' 개막식 축사에서 "우리나라가 외국의 남는 무기를 받아 쓰는 국가에서 전 세계 5대 국방 강국, 방산 수주 100억불 시대를 열 수 있었던 힘은 역대 모든 정부가 방위산업과 항공우주산업을 육성해왔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 정부는 그 단단한 주춧돌 위에 더욱 과감한 투자와 지원으로 대한민국을 글로벌 4대 방위산업, 항공우주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며 "방위산업을 국민이 믿고 의지하는 주력 제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방·항공우주 연구개발(R&D) 대규모 예산 투입 △방산 패스트트랙 제도 도입 △중소기업·스타트업 상생 정책 등을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2030년까지 국방·항공우주 R&D에 예상을 뛰어넘는 대대적인 예산을 투입하겠다"며 "특히 국방 분야의 특수반도체 등 독자적으로 확보해야 될 기술과 부품, 소재 개발에 투자를 집중해서 국방 기술 주권을 확실하게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또 "혁신 기술이 산업 현장에 신속하게 도입될 수 있도록 정책과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며 "민간이 보유한 기술과 장비를 군에 제안하는 기회를 넓히고 신속하게 군에 적용될 수 있도록 방위산업 패스트트랙 제도를 도입해 확대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 그리고 스타트업이 방위산업과 항공우주 분야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추겠다"며 "능력과 기술이 있으면 누구나 대한민국 방위산업 발전에 직접 참여할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방위산업과 항공우주산업은 국내 수요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고 대규모 자본과 기술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의 힘만으로 이룰 수 없음을 잘 안다"면서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뛰어난 제품을 수출하는 것을 넘어서 안보 협력 파트너라는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은 협력국에 세계 최고 수준의 무기 체계뿐 아니라 산업기반 구축의 기술과 경험 또한 공유해 확실한 신뢰로 연대하는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