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년 전 신라 장수 무덤 발굴…최상위 신분의 30대 추정

순장된 시종 추정 인골도 발굴…순장자 인골 전신 자료 첫 확인

경주 황남동 1호 목곽묘 현황. 국가유산청 제공

4~5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 장수의 무덤이 확인됐다.

국가유산청과 경북 경주시는 20일 경주 황남동 120호 무덤 일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4~5세기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을 새롭게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무덤에서 출토 유물, 부장 양상 등을 고려할 때 당대 최상위 신분의 신라 장수로 일정한 정치적 역할까지 수행한 인물의 무덤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경주 황남동 1호 목곽묘'로 이름 붙여진 이 무덤은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인 황남동 120호 무덤 아래에서 발견됐다.

경주 황남동 1호 목곽묘 주인공 장식 유물과 껴묻거리. 국가유산청 제공

무덤에서는 금귀걸이 1쌍과 큰 칼, 치아 조각 등 모두 165점의 유물이 나왔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치아 조각은 무덤 주인의 머리 부분에서 여럿 확인됐는데, 제2 소구치의 마모 상태를 볼 때 30세 전후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주검이 있는 주곽에 딸린 부곽에서는 마갑과 사람 갑옷,투구, 안장, 등자, 재갈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됐다. 말이 착용하는 갑옷인 마갑이 나온 건 경주 쪽샘지구 C10호에 이어 두 번째다.

마갑과 사람 갑옷이 발견된 지점에서는 팔다리를 모두 벌린 모습의 순장자 흔적도 확인됐다. 무덤 주인을 가까이서 보좌한 시종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 장수무덤 속 인물도 복원 상상도.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최상위 계층 무덤에서 그동안 추정하거나 일부만 확인됐던 순장자 인골 전신 자료를 처음으로 확인했다"며 "장례 풍습 연구에 있어 실증적 자료"라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맞춰 이달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엿새 간 발굴 조사 현장과 유물 일부를 공개할 예정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