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후속 협상에 집중하고 있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20일 미국이 3500억달러(약 50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방식과 관련해 전액 현금으로 투자를 요구하는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미국 출장을 마치고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협상 진전 상황을 묻는 질문에 "한국 외환 시장에 부담을 주는 선으로 (논의)해서는 안 되겠다는 점에 어느 정도 컨센서스가 있었다"며 "그걸 바탕으로 해서 진전될 수 있었다"고 답했다.
'미국이 3500억달러 전액을 현금으로 투자하라는 입장을 보였나'라는 질문에는 "거기까지였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그런 부분에 있어 상당 부분 미국 측에서 우리 측 요구를 받아들인 측면이 있다"고 전했다.
또 "한미 양측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을 계기로 협상을 한 번 만들어보자는 데 의견 일치감이 있었다"면서도 "(다만) 우리 측에서는 시점 보다는 국익에 맞는 타이밍까지 왔는가를 더 우선으로 뒀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능한 범위를 찾기 위해 마지막 움직임이 있다"며 "지금 구체 쟁점에 대해선 말하기 어렵다. 그런 딜이 몇 가지 있어서 지금 당장 된다, 안 된다를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공감대를 이룬 미국 측 인사에 트럼프 대통령도 포함되는가'를 묻는 질문에 "제 협상 파트너는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으로 러트닉과 제 판단"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까지 말할 입장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김 장관은 추가 방미 계획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 논의를 해 보고 필요하면 갈 생각도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앞서 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과 산업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 워싱턴 DC에서 러트닉 장관을 만나 대미 투자 관련 각론에 대해 협의했다.
한편 김 장관보다 하루 일찍 귀국한 김용범 정책실장은 방미 결과와 관련해 "대부분의 쟁점에서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 남아있다"면서도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타결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방미 전보다는 APEC을 계기로 타결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답했다.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이 최종 국면에 돌입했다는 분석도 이 같은 설명과 맞물려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