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잇단 동결…시장금리 오르자, 예금금리 올랐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이 이어지면서 시중은행들의 예·적금 금리가 다시 올라가고 있다. 금리 인하 흐름이 지연되면서 시장금리가 올랐기 때문인데, 대출금리 역시 오름세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지난 22일 '하나의 정기예금' 최고금리를 연 2.55%에서 2.60%로 올렸다.

이 상품 최고금리는 지난 7월 2.45%까지 내려갔다가 지난 달 2.50%로 오른 뒤 이달 들어 두 차례 인상됐다. 시장금리 인상을 반영한 것이다.

카카오뱅크는 앞서 이달 중순 정기예금과 자유적금의 1년 만기 금리를 0.10%p씩 올렸다. 정기예금 1년 만기 기본금리는 2.60%, 자유적금은 2.80%로 상향됐다.

케이뱅크도 코드K정기예금 1년 만기 상품 금리를 0.05%p 올려 2.55%가 됐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최고금리(1년 만기)는 연 2.55~2.60%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은행들의 수신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지난 23일 3연속 금리 동결을 결정하는 등 최근 금리 인하가 지연되거나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장금리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 1년물 금리는 지난 7월 2.497%대까지 떨어졌다가 이달 23일 기준 2.596%를 기록했다.

기준금리 동결에도 대출금리 역시 오르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COFIX)는 8월보다 0.03%p 올라 2.52%로 집계됐다.

변동형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는 지난해 10월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다 12개월 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고정형 주담대에 활용되는 금융채 5년물 금리도 지난 23일 2.983%로, 최근 오름세다. 이달 1일 3%를 넘어서기도 했다.

여기에 은행권이 가산금리를 높여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나서면서 체감되는 대출금리 역시 좀처럼 낮아지지 않고 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