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찰에 접수된 캄보디아 관련 납치·감금 의심 신고가 총 513건에 달하지만, 상당수는 안전여부조차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가 귀국하지 않은 사건은 218건, 이중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건은 162건이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27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정례간담회에서 "계속적으로 외교부와 협업해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대상자의 소재를 확인하고 있다"며 "대상자의 최초 주소지가 있는 시도청 전담부서에 범죄 관련성과 실제 피해가 있었는지 여부를 면밀히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 16일부터 '국외 납치 및 감금 의심 특별자수·신고기간'을 운영 중인데, 캄보디아뿐 아니라 타 동남아 지역에서도 관련 신고가 접수됐다. 미얀마(2건)·태국(11건)·필리핀(7건)·베트남(8건)·말레이시아(2건)·라오스(2건)·중국(1건)·인도(1건) 등 총 34건이다.
아울러 경찰은 캄보디아 범죄조직이 태국·라오스 등 인접 국가로 이동하는 '풍선 효과'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국가와의 국제협력 체계를 마련 중이다.
박 본부장은 "지난 20일 각국 경찰 주재관, 파견자들에 캄보디아 범죄조직이 주변국으로 이동했는지도 면밀히 확인하라고 지시했다"며 "해당국과 1대1 협력이 가장 중요하기 떄문에 실시간으로 정보 공유하고 필요한 조치 협의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오는 11월 중순 캄보디아를 비롯한 10여개국과 함께 초국경 합동 작전을 추진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3일 한국·캄보디아·미국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8개국과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 아세아나폴(아세안 지역 경찰협력체) 등이 참여하는 국제공조협의체가 출범했다.
한편 캄보디아에서 송환된 피의자 64명에 대해서 박 본부장은 "캄보디아 최초 입국 경위, 현지에서의 역할 등에 대해 수사를 진행 중"이라며 "국내 불법사금융, 불법대부업 관련 범죄와 연관성이 있는지도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캄보디아 대학생 사망 사건 관련 숨진 박모(22)씨를 캄보디아로 보낸 대포통장 모집책 2명을 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추가 공범이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