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한마디로 척척' AI 국민비서가 온다

행안부, 네이버·카카오와 AI에이전트 공공서비스 적용 업무협약

행정안전부 제공

행정안전부는 민간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통해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국민비서(가칭)' 시범사업을 연내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네이버, 카카오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AI 에이전트는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사용자 지시에 따라 작업 수행까지 할 수 있는 기술로 민간 AI 에이전트를 공공서비스에 연계하면 국민이 복잡한 절차 없이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시범서비스는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 등 국민 수요가 높은 개별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이를 공공서비스와 연계해 시범서비스를 할 계회획이고 카카오는 자체 거대언어모델인 '카나나' 기반의 AI 에이전트를 공공서비스와 확장성이 높은 개방형 구조로 연동해 시범서비스를 구현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생애주기별 생활·행정 업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민주정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혁신적인 기술과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국민 누구나 말 한마디로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