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민간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통해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국민비서(가칭)' 시범사업을 연내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네이버, 카카오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AI 에이전트는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사용자 지시에 따라 작업 수행까지 할 수 있는 기술로 민간 AI 에이전트를 공공서비스에 연계하면 국민이 복잡한 절차 없이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시범서비스는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 등 국민 수요가 높은 개별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이를 공공서비스와 연계해 시범서비스를 할 계회획이고 카카오는 자체 거대언어모델인 '카나나' 기반의 AI 에이전트를 공공서비스와 확장성이 높은 개방형 구조로 연동해 시범서비스를 구현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생애주기별 생활·행정 업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민주정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혁신적인 기술과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국민 누구나 말 한마디로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