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상징이자 시민들의 오랜 염원이었던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마침내 확정됐다. 31일 오후 1시 30분, 기후에너지환경부 제1차관 주재로 열린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통과됐다. 이로써 금정산은 대한민국 24번째 국립공원이자, 국내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37년 만의 '신규 지정', 특별한 의미의 탄생
금정산국립공원은 총면적 66.859㎢로, 이 가운데 약 78%(52.136㎢)는 부산 6개 자치구에, 나머지 22%(14.723㎢)는 경남 양산시에 걸쳐 있다. 금정산뿐 아니라 낙동정맥을 따라 이어지는 백양산까지 포함됐다.이번 지정은 1987년 소백산국립공원 이후 37년 만에 '비보호지역'이 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사례로, 국립공원 제도 역사에서도 의미가 깊다. 무등산·태백산·팔공산은 기존 도립공원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된 경우다.
생태·문화·경관 모두 "국립공원급 가치"
기후에너지환경부가 2020~2021년 진행한 타당성 조사 결과, 금정산은 보호지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연생태·역사문화·경관 등 모든 기준에서 국립공원 지정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평가됐다.이 지역에는 멸종위기종 14종을 포함한 야생동물 1782종이 서식하고, 자연경관 71곳과 문화자원 127점이 분포한다. 문화자원 수는 전국 23개 국립공원 중 1위 수준이다. 연간 탐방객 312만 명이 금정산을 찾는 것으로 조사돼, 전국 국립공원 가운데 5위에 이른다.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논의는 2005년 시민사회 제안으로 시작됐다. 2014년에는 10만 명 서명운동으로 여론이 확산됐고, 2019년 6월 부산시가 환경부에 공식 건의하면서 본격화했다.
그 과정에서 시민사회, 환경단체, 종교계, 전문가, 공공부문 등이 꾸준히 공론화 과정을 이어왔다. 특히 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와 금정산국립공원지정시민네트워크 등 시민단체 80여 개가 오랜 기간 함께 활동해 왔다. 이는 시민 주도의 대표적 지역운동 사례로 평가된다.
범어사와의 상생 협약이 전환점
국립공원 지정 과정은 높은 사유지 비율과 복잡한 이해관계로 수년간 답보상태에 머물렀다. 그러나 2024년 11월, 범어사·금정산국립공원추진본부·부산시가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동의 및 상생발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면서 큰 전환점을 맞았다.범어사를 비롯한 종교계의 협력과 이해관계자의 동의가 결정적 역할을 했고, 이후 주민설명회와 공청회 등 행정 절차가 속도감 있게 추진돼 이번 국립공원 지정 확정으로 이어졌다.
금정산은 앞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서,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는 부산의 새로운 상징이 될 전망이다. 부산시는 이번 지정을 계기로 "바다와 강, 그리고 산으로 이어지는 부산 관광의 완성"을 기대하고 있다. 친환경 관광수요 증가로 지역 상권이 살아나고, 생태관광·환경교육·문화체험 등 다양한 일자리 창출도 예상된다.
금정산 일대의 문화유산 복원과 역사경관 정비를 통해 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되살리고,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품격 있는 문화·휴식 공간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탐방객 수도 연간 400만 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부산 공동체의 승리, 지속가능한 녹색도시로
박형준 부산시장은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은 시민의 염원과 공공부문의 꾸준한 추진, 지역사회의 헌신이 함께 만들어낸 부산 공동체의 승리"라며, "금정산을 통해 부산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생태도시이자 지속 가능한 녹색도시로 나아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공원공단, 지역사회와 협력해 탐방로 정비, 문화유산 복원, 생태계 보전, 주민지원사업 등을 신속히 추진하겠다"며, "금정산을 부산의 새로운 도심형 생태자산이자 대한민국 최고의 국립공원, 도심형 국립공원의 선도모델로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