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서 부산 핵심현안 총집결
여의도서 부산 핵심현안 총집결부산시와 국민의힘 부산시당이 내년도 국비 확보를 위해 서울 여의도에서 머리를 맞댔다.부산시는 31일 오전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 심사를 앞두고 주요 현안사업의 예산 반영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형준 시장과 정동만 부산시당위원장을 비롯해 지역 국회의원 12명, 부산시 관계자 20여 명 등 30여 명이 참석해 가덕신공항, 북항재개발, 해수부 공공기관 이전 등 주요 현안을 점검했다.
"부산 재도약 골든타임…국비 확보 절실"
정동만 시당위원장은 "가덕신공항과 북항재개발, 해양공공기관 이전 등은 부산을 글로벌 허브도시로 이끌 핵심 사업"이라며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가 없으면 부산의 재도약도, 대한민국의 미래성장도 어렵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대선 당시 이재명 대통령이 약속한 동남권 투자은행이 투자공사로 바뀌고, 전국 권역별 설립 방안이 논의되는 것은 사실상 공약 파기"라며 "정부와 여당이 정신을 차리고 부산 발전에 집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위원장은 "APEC 정상회의로 부산이 세계의 중심이 된 지금이 골든타임"이라며 "예결위와 상임위에서 의원들이 지역 현안을 꼼꼼히 챙겨달라"고 당부했다.
박형준 "제조·AI·해양 산업 지원예산 반드시 관철"
박형준 시장은 "부산시와 시당의 협력으로 BuTX 민자적격성 통과,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안 통과, 가락IC 통행료 무료화 등 가시적 성과가 있었다"며 "이제는 국비라는 결실을 맺을 때"라고 강조했다.박 시장은 특히 "AI 대전환 시대에 대응할 제조 AI, 버티컬 AI 산업예산과 혁신플랫폼 구축 예산이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며 "가덕신공항 재입찰, 해수부 기능 강화, HMM 이전, 해양 정책금융 및 디지털금융 테스트베드 조성 등 핵심 사업들이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44개 건의사업·현안 과제 논의
부산시는 이날 협의회에서 △낙동강 유역 먹는물 공급체계 구축 △스마트항만 모빌리티 허브 조성 △극지산업용 반도체 인프라 △피지컬 AI 기술개발 △자율주행 항만 플랫폼 구축 등 2026년도 주요 국비사업 27건과 현안과제 17건을 시당에 전달했다.또 △반송터널·황령3터널 건설 △사직야구장 재건축 △다대 복합해양레저도시 조성 △침례병원 공공병원화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경부선 철도지하화 등 시민생활과 직결된 사업도 함께 논의됐다.
이외에도 △가덕도신공항 조속 건설 △해수부 및 해양공공기관 부산 통합이전 △해사전문법원 설립 △부산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제정 등 핵심 국책사업 추진 전략이 집중 논의됐다.
부산시는 이날 협의회에 이어 다음 달 4일 열리는 국민의힘 부·울·경 예산정책협의회에도 참석해 국비 확보전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미 반영된 예산은 지켜내고, 추가 예산은 예결위 단계에서 끝까지 관철시킬 것"이라며 "가덕신공항 개항, 공공기관 이전, 신산업 육성 등 부산의 미래성장 동력이 흔들리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