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건강을 매개로 관계와 공동체를 회복하는 '사회적처방 건강관리소' 2호점이 광주 광산구에 문을 열었다.
광주광역시는 31일 광산구 빛고을국민체육센터에서 '사회적처방 건강관리소 2호점' 개소식을 열고 시민참여형 돌봄모델 확산에 나섰다. 개소식에는 고광완 행정부시장과 박병규 광산구청장, 김영선 광산구의회 경제복지위원장, 이혜숙 광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등 지역 인사와 주민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에 문을 연 건강관리소는 지난해 수완동 수완문화체육센터에 개소한 1호점의 성과를 바탕으로 조성됐다. 1호점은 통합돌봄 대상자와 시민 3200여명의 신체 건강과 정서 안정을 지원하며 광산구 대표 공동체 돌봄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사회적처방 건강관리소'는 시민 누구나 건강을 매개로 돌봄과 사회적 연결을 경험할 수 있는 열린 커뮤니티 공간이다. 인공지능(AI) 기반 건강측정장비 16종으로 기초·근골격·보행·인지 등 신체 데이터를 측정하고, 국가건강검진자료 및 사전문진 결과를 종합해 개인별 건강리포트를 즉시 제공한다.
이후 건강상태에 따라 △사회적 처방 상담 △건강활동가 매칭 △건강·운동 프로그램 △심리·정서지원 등을 통합적으로 연계한다. 특히 사회적처방 실행에는 복지·교육·간호 등 전문직 은퇴자들로 구성된 '건강활동가'가 핵심 역할을 맡는다.
이들은 운동 지도, 복약 관리, 일상 대화 등 생활 속 건강 파트너로 활동하며 시민의 사회적 관계망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주시는 현재 △들랑날랑커뮤니티센터 △쌍촌케어 돌봄교실 △사회적처방 건강관리소 등 6개 거점형 공동체 돌봄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광주시 고광완 행정부시장은 "돌봄의 궁극적 목적은 서로가 서로를 돌보는 '관계돌봄'에 있다"며 "건강을 매개로 시민의 관계돌봄을 확장하는 사회적처방 건강관리소가 지역공동체의 건강한 일상을 만들어가는 거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민선8기 복지 1호 공약인 '광주다움 통합돌봄'은 내년 3월 시행되는 '돌봄통합지원법'과 함께 전국 확산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지난 8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광주를 방문해 운영 노하우를 공유받는 등 전국 지자체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