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광양·당진시가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철강이 제외된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세 철강도시는 3일 지역경제의 존립 자체를 위협받는 심각한 위기감 속에 '철강산업도시 단체장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강덕 포항시장, 김정완 광양부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은 "철강산업은 국가 기간산업이자 제조강국의 근간으로, 포항·광양·당진은 국내 조강 생산의 93%를 차지하는 핵심 거점도시"라며 "철강 고율 관세부과는 자동차 산업 등 국가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중대한 사안"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날 회의를 통해 3개 도시는 다음 사항을 정부와 국회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다.
△대미 관세협상 제외 품목관세 외교 협상 요청 △광양·당진 지역의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포항·광양·당진 지역의 '고용위기선제대응지역' 조기 지정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K-steel법' 조속 제정 △'철강산업 고도화 종합대책' 대책 마련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4차 배출권 허용총량 완화 등을 건의한다.
또, 철강산업도시들이 한목소리로 정부 차원의 총력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 각 지자체와 국회, 정부, 지역 기업 등이 모두 참여하는 논의의 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관세율이 50%로 상향되면서 국내 철강산업의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했으며, 세 도시는 앞으로 정부, 국회, 산업계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철강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동행동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