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가 농촌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전북농어촌활력재단'을 전북도 산하기관으로 설립한다.
4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농어촌활력재단'은 농촌경제사회 분야의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하며,
기존 농촌융복합지원센터와 농어촌종합지원센터 등 3개 센터와 신규 전국교육훈련기관을 통합 운영하게 된다.
재단은 자본금 3억 원, 예산 48억 원 규모로 설립되며, 전북도는 2026년 말 출범을 목표로 내년 상반기부터 조례 제정, 임원 구성 등 후속 절차를 추진한다.
전북농어촌활력재단은 지난 2025년 6월 문을 연 '농촌 경제사회 서비스 활성화 지원센터'에 들어선다. 해당 건물은 연면적 2958㎡,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강의실, 교육생 휴게공간, 숙박시설 등을 갖췄다.
이번 재단 설립은 지난 10월 29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
현재 전북은 14개 시군 중 10곳이 인구감소지역으로, 13곳은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실정이다. 급격한 고령화와 청년 인구 감소가 농촌 생활 인프라 폐쇄로 이어지며, 도시와 농촌 간 삶의 질 격차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전북도는 그간 농촌융복합지원센터 등을 위탁·보조 방식으로 운영해왔으나, 공공성 확보와 전문적 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재단 설립을 추진해왔다.
재단이 출범하면 안정적인 농촌 생활 서비스 제공과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한 신규 일자리 창출, 장기적 사업 추진이 가능해져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전북도민 7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8.2%가 재단 설립이 지역 발전과 일자리 창출 등 주민 생활 여건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답했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전국 최초로 농촌문제 해결을 고민하는 재단 설립을 승인받은 것은 전북도가 국가적 사명을 부여받은 것"이라며 "보편적 농촌생활서비스 전달 체계를 잘 만들어 활력 넘치는 농촌 조성을 견인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