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환경대학원 김경민 교수가 펴낸 '건축왕 정세권 – 집을 지어 나라를 지킨 조선 최초의 디벨로퍼'는조선의 근대 도시개발사 속에서 잊힌 인물 정세권의 삶과 사상을 복원한 책이다.
정세권은 1920~30년대 경성에서 주택사업을 펼치며 '건양사'를 설립, 북촌과 익선동 일대의 대규모 한옥 단지를 개발한 인물이다. 그의 한옥들은 오늘날 '북촌 스타일'로 불리는 소형 전통주택의 원형이 되었고, 당시 쫓겨날 위기에 처한 조선인들에게는 '경성 안의 터전을 되찾아준 집'이었다.
김 교수는 "정세권은 조선 최초의 근대적 디벨로퍼이자 도시계획가"라며 "그의 개발은 단순한 사업이 아니라, 일본의 북진을 막고 조선인의 정주권을 지키려는 실천이었다"고 강조한다.
정세권은 사업으로 얻은 부를 조선물산장려운동과 조선어학회에 아낌없이 쏟아부은 민족운동가이기도 했다. 그는 종로 화동에 조선어학회 회관을 지어 기증하고, '조선어 표준말 사정위원회'를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결국 일제의 감시망에 걸려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혹독한 고문을 받고 재산을 몰수당했다.
책은 부동산·건축·역사·국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자료를 엮어정세권을 경성 3대 왕 중 '건축왕'으로 복원해낸다. '조선 사람은 조선 물건을 써야 한다'는 그의 신념은오늘날 도시 재생과 부동산 개발의 본질적 의미를 다시 묻는다.
'건축왕 정세권'은 단순한 역사전기나 개발사 연구서를 넘어, '집이 곧 나라'였던 시대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 도시의 근대와 정체성을 되묻는 흥미로운 인문교양서다.
김경민 지음 | 와이즈맵 | 23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