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지역에서 공무원 사칭 물품 사기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는 '노쇼(no-show) 사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세종북부경찰서는 세종시청 공무원을 사칭해 한 보일러 업체로부터 3천만 원을 받아 챙긴 용의자를 쫓고 있다고 5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사기범은 지난달 29일 세종시 조치원읍에 있는 한 보일러 업체에 위조된 공무원 명함을 보낸 뒤 "제세동기가 필요하다"며 "제세동기 업체 계좌로 돈을 입금하면 업체가 제세동기를 보내줄 것"이라고 속였다.
보일러 업체는 안내받은 계좌로 3천만 원을 송금했지만, 이후 연락이 끊기면서 뒤늦게 사기 피해를 인지해 경찰에 신고했다.
현재까지 추가 피해가 접수된 것은 없었다.
경찰은 입금 계좌와 휴대전화 사용 내역 등을 바탕으로 용의자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
이 사건은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 중인 '노쇼 사기' 수법과 유사하다.
'노쇼 사기'는 공공기관이나 군부대, 정당 등을 사칭해 대량 주문을 예약한 뒤, 다른 업체나 개인에게 대금을 대신 입금하도록 유도해 돈을 가로채는 신종 사기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국의 '노쇼 사기' 접수 건수는 4506건, 피해액은 737억 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검거 건수는 865건, 검거 인원은 309명으로 집계됐다.
허 의원은 "사기 피해자 대부분은 영세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으로, 거래 한 건이 생계와 직결되는 분들"이라며 "이들의 선의를 악용하는 노쇼 사기는 단순한 금전 범죄를 넘어 사회적 신뢰를 무너뜨리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경찰청 차원의 상시 단속체계 구축과 피해 예방·구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