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화하고도 엑셀로 확인…광주여성가족재단 '반쪽 행정'

시스템 연동 안돼 수기 검증 반복…여비·수당 환수도
최지현 시의원 "AI 도시 광주, 행정 혁신은 데이터 연계부터"

광주광역시의회 최지현 의원(더불어민주당·광산1). 광주시의회 제공

광주여성가족재단이 예산·회계·인사·근태관리 시스템을 전산화했지만, 각 시스템이 연동되지 않아 여전히 수기 검증에 의존하는 비효율적 행정이 이어지고 있다.

6일 광주광역시의회에 따르면 최지현 의원(더불어민주당·광산1)은 지난 5일 열린 재단 행정사무감사에서 "근태관리 데이터가 다른 행정시스템과 연계되지 않아 직원 근무시간을 엑셀로 일일이 대조하는 상황"이라며 "이 과정에서 여비·수당 집행 오류와 환수 사례가 반복돼 행정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재단은 행정 효율화를 명분으로 전산화 사업을 추진해왔지만, 올해 5월에야 시스템 연동이 가능한 A사의 신규 근태관리(지문인식) 장비를 추가 도입했다. 문제는 기존 B사 단말기 계약이 남아 있어 위약금 부담 때문에 폐기하지 못한 점이다. 이로 인해 보안은 B사, 근태는 A사 단말기로 운영되는 '이중구조'가 이어지고 있다.

최 의원은 "행정의 기초 데이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증이 불가능한 아날로그식 행정을 반복하는 것은 인력과 예산의 낭비이자 시민 신뢰를 무너뜨리는 일"이라며 "기존 시스템 계약 당시 데이터 연계 가능성을 검토하지 않은 것이 행정 실패의 출발점"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AI 도시를 지향하는 광주에서 기술 혁신의 본질은 첨단장비가 아니라 행정 데이터가 하나로 통합되는 체계를 만드는 데 있다"며 "행정의 디지털 전환은 시스템 연계와 투명성 확보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