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이후 서울의 아파트 가격지수 상승률이 2주 연속 감소한 가운데 경기 비규제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한국부동산원이 6일 발표한 11월 1주(11월3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는 직전 주(0.23%) 대비 0.04%p 줄어든 0.19%를 기록했다.
성동구(0.37%→0.29%), 광진구(0.20%→0.15%), 마포구(0.32%→0.23%) 등 10.15 대책 이전까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를 선도한 지역들의 상승률 대부분이 축소됐다.
이 가운데 송파구(0.48%→0.43%), 동작구(0.44%→0.43%), 강동구(0.42%→0.35%), 양천구(0.38%→0.34%) 등의 상승률 하락세는 벌써부터 둔화될 조짐을 보였다. 강북구(0.01%), 도봉구(0.02%), 노원구(0.05%→0.03%), 중랑구(0.02%), 금천구(0.05%→0.04%) 등 대책 시행 이전부터 집값 상승이 미미했던 지역 역시 상승률 하락폭이 적었다.
10.15 대책에서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12개 지역 역시 대부분 오름세 축소를 피할 수 없었다. 과천시(0.58%→0.44%), 성남시 분당구(0.82%→0.59%), 광명시(0.48%→0.38%) 등의 상승률이 직전주 대비 줄어들었다.
반면 규제 적용이 되지 않은 경기도 일부 지역은 오히려 상승폭이 커지면서 풍선효과 우려를 키우고 있다. 화성시, 용인시 기흥구, 구리시 등은 상승률이 직전주 대비 2배 이상 커졌다.
화성시는 2024년 8월 넷째 주(0.27%) 이후 61주 만에, 구리시는 2020년 6월 넷째 주(0.62%) 이후 279주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인천도 직전주(0.05%) 대비 0.01%p 상승했다. 지방(0.01%)은 2023년 11월 넷째 주 하락 전환 이후 100주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다.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은 0.07%로 직전주와 같았다. 서울의 전세가격 지수는 0.15%로 직전주(0.14%) 대비 0.01%p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