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미래차진흥원 내부감사 '유명무실'…공공기관 기강해이 도마

박수기 시의원 "이해관계 없는 외부 전문가 중심 감사체계 구축해야"

광주시의회 박수기 의원(더불어민주당·광산구5). 광주광역시의회 제공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의 내부감사가 사실상 '면피용 감사'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은 6일 열린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기관이 내부 문제조차 스스로 감추는 수준에 이르렀다"며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운 외부 전문가 중심의 투명한 감사체계를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의원은 최근 진흥원 전 직원의 극단적 선택을 계기로 드러난 내부 문제와 관련해 "유서에 적시된 금품수수, 직장 내 갑질, 부적정 계약 등의 의혹이 내부감사에서 대부분 '문제없음'으로 결론 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사실상 조직 보호에만 급급한 형식적 감사였다"고 비판했다.

진흥원은 사건 직후인 5월 26일부터 6월 2일까지 불과 일주일간 자체 감사를 진행했는데, 감사는 행정지원팀 소속 직원 1명이 단독으로 맡은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는 이 직원이 감사 대상 부서인 행정지원팀 소속 하위직원이었다는 점이다. 감사 수행자와 피감 대상이 같은 조직 내에서 장기간 근무한 관계로 감사의 객관성과 독립성이 크게 훼손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 의원은 "감사규정상 외부 자문위원회를 둘 수 있음에도 이를 구성하지 않았고, 감사 기간도 지나치게 짧았다"며 "외부 자문위원회 설치가 강제조항이 아니라 해도, 사건의 중대성과 다수 내부자가 연루된 사안의 특수성을 고려했다면 외부 전문가를 통한 교차 검증이 필수적이었다"고 지적했다.

또 박 의원은 감사팀이 용역보고서와 석사학위 논문 간의 유사성, 이른바 '표절 의혹'에 대해서도 소극적으로 대응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용역보고서(2025년 1월 제출)와 석사논문(2025년 1월 최종 제출)이 동일한 시기에 작성됐고, 두 자료 모두 '자동차 산업 중소기업 경영 성과'를 주제로 다루고 있음에도, 진흥원은 이를 단순한 개인 연구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단순한 표절 차원을 넘어, 용역 수행 기업이 사실상 논문을 대필했을 가능성도 제기되는 중대한 사안이지만 진흥원은 관련 전문가 자문이나 비교 검증 절차조차 진행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박수기 의원은 "광주의 미래차 산업을 책임지는 핵심 공공기관이 신뢰를 잃으면 국가사업 추진력까지 무너질 수 있다"며 "진흥원이 제대로 혁신하려면 잘못된 내부문화를 바로잡고, 투명한 감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 김성진 원장은 이에 대해 "감사를 담당한 직원이 충분한 경험과 능력을 갖춘 인사로, 한 달 정도 충분한 기간 동안 감사를 진행했다"고 해명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