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권에 가상화폐 사용 '세탁책'…수법 교묘 역할 커져

마약류, 사기 범죄 피해금 등 범죄에서

경남경찰청 제공

마약류나 사기 범죄 피해금 등을 중간에서 세탁해주는 조직책이 잇달아 붙잡히고 있다. 경찰 추적을 피하기 위해 가상화폐나 상품권 거래 등으로 위장하며 교묘해지는 세탁책의 역할은 갈수록 커지는 모양새다.

6일 경찰에 따르면 최근 마약류 판매 방식은 다음과 같다. 필로폰 등 마약류를 구매하고 싶은 30대 A씨가 SNS를 통해 판매책에 연락한 뒤 가상화폐 거래소 계좌 주소를 받아 돈을 입금한다. 여기에 돈은 세탁책이 20% 정도 수수료로 떼고 가상화폐를 판매책에게 준다.

판매책은 가상화폐를 확인하고 A씨에게 마약류가 있는 좌표를 주는 것으로 거래는 최종적으로 성사된다. A씨는 약을 하고 범행은 반복된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구매자와 판매자가 계좌번호나 대면 등으로 직·간접적으로 거래해왔지만, 경찰 추적에 걸리다보니 이처럼 가상화폐 거래소라는 중간 업자를 끼우는 식으로 범행 수법이 진화한 것. 전승원 경남경찰청 마약범죄수사계장은 "대면 거래에서 온라인 유통으로 넘어갔다가 2~3년전쯤부터 가상자산 거래소가 등장하는 범행 수법이 나오고 있다"며 "전부 경찰 추적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경찰청 제공

마약류뿐 아니라 보이스 피싱 등 사기 범죄에서도 세탁책의 역할은 커지고 있다. 주로 세탁은 피싱 조직이 상품권 업체로 위장한 세탁책에 돈을 보내면, 세탁책은 0.5~1% 수수료를 뗀 뒤 돈을 인출해서 전달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과거와 달리 범행 자금을 더 교묘히 은닉하기 위해서다.

범죄자들은 정당한 거래였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백화점 상품권 등을 사고판 흔적이 없고 허위 계약서만 달랑 존재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이승규 경남경찰청 사이버수사대장은 "실제로 상품권 거래 흔적이 있다면 체포하기도 어렵다"며 "하지만 허위 계약서가 거의 전부로 피싱 조직에게서 돈을 받은 뒤 수수료를 일부 떼고 다시 전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경남경찰청은 이 같은 불법 가상화폐 거래소 운영자와 사기 범죄 피해금 세탁 조직책 등 수십 명을 마약류관리법 위반 방조나 사기 등 혐의로 검거해 수사 중이다. 가상자산 전담 수사팀도 신설하는 등 범죄를 막는 데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