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횡령·배임 지역주택조합 14건 수사의뢰

지역주택조합 전수조사 550건 적발

서울 도심. 연합뉴스

서울시가 올해 지역주택조합 118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수조사에서 550건의 위반 행위를 적발하고, 이 가운데 형사고발·수사의뢰 등 강력 조치에 착수했다.
 
지역주택조합이란 수도권 무주택자 또는 주거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 1채 소유자들을 모집해 조합을 설립하고, 수도권 내 특정지역의 토지를 확보하여 아파트를 건립하는 사업이다.
 
지난 5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조사에서 118곳 가운데 106곳에서 550건의 위반 사항이 확인됐다.
 
서울시는 550건 가운데 118건에 대해서는 주택법 위반 혐의로 형사고발하기로 했다. 그 가운데 배임, 횡령, 사기 등에 해당하는 14건의 중대 사안에 대해서는 수사의뢰하기로 했다.
 
지난해 2건을 수사의뢰했던 것에 비하면 큰 폭으로 늘어난 범죄 행위다.
 
가령 일부 사업지에서는 추진위원장의 개인 계좌에서 수년간 1억6천만원이 불명확하게 지출된 사실이 확인됐다.
 
또 다른 추진위원회는 정비구역·토지거래허가구역에 묶여 사실상 사업이 불가능한 상태임에도 신규 조합원 182명을 모집하고 출자금 명목의 투자금을 수령했다.
 
직원이나 대행사가 부담해야 할 대출이자와 세금을 추진위원회 예산으로 대납한 곳도 확인됐다.
 
조합원 모집대행 비용을 업무대행사가 지불하게 되어 있음에도 조합비로 지출하거나, 조합원 가입계약서에 필수 항목을 누락한 사례도 다수 적발됐다.
 
사업 불가 상태를 숨긴 채 조합원 모집을 강행하거나, 허위·과장 광고로 조합원을 끌어모은 흔적 역시 조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연락두절·사업중단으로 실태조사 자체가 불가능했던 15곳은 별도 관리에 들어간다.  
 
서울시는 조사 결과를 정비사업 정보몽땅과 각 자치구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조합별 상세 지적사항은 조합원들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조합 홈페이지에 공개토록 했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지역주택조합은 투명하지 않으면 피해가 대규모로 번지는 구조"라며 "법 위반은 즉각 조치하고, 조합원 권익 보호를 위해 제도개선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