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정부의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을 거론하며 "이번 정부에서는 원상 복구를 넘어 더 많은 국가 역량을 R&D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7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에 참석해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R&D 예산을 늘렸다"며 "국가도, 개인도, 기업도 공부해야 한다. 연구개발에 투자해야 미래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내년도 R&D 예산을 35조4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3% 증액해 국회에 제출했다. 역대 최대 인상폭이다.
이 대통령은 "배를 곯고 논밭을 팔아서라도 자식을 공부시킨 선배 세대의 노력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며 "역사적으로도 과학에 관심을 가진 국가는 흥했고, 무시한 국가는 망했다"고 말했다.
또 "대한민국 R&D 성공률이 90%를 넘는다고 한다. 얼마나 황당한 얘기인가"라며 "어려운 분야에서 실패를 용인해야 제대로 된 연구개발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진 과학기술인들과의 토론에서 그는 "이제 노동자를 쥐어짜고 착취해서 돈을 버는 방식으로는 성공하기 어렵다"며 "과학자의 성과에 충분히 보상하는 사회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패한 연구자에게도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공공 연구 장비의 공동 활용 지침 마련 등을 즉석에서 제안했다.
지난 정부 당시 R&D 예산 삭감에 항의하다 학위수여식에서 퇴장당한 카이스트 졸업생을 언급하며 "'입틀막'을 당하고 끌려간 학생이 오늘 왔으면 만나보려 했다. 얼마나 억울했겠나"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부모가 경제적으로 여력이 있어서 정상적으로 학교에 다녔다면 과학기술 연구자가 됐을 것"이라며 "그런데 어쩌다 법학을 공부해 이 판(정치권), 생난리를 치는 전쟁터에 들어왔다. 이것도 해야 할 일이긴 하다"고 웃었다.
보고회에 앞서 대통령은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을 방문해 'KSTAR' 핵융합 연구시설을 둘러보고 연구자들을 격려했다. 당초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 방문을 검토했지만, "아직 수습 중이라 대통령 방문이 방해될 수 있다"는 현장 의견에 따라 취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