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각각 국정조사를 제안하고 나섰다. 검찰이 대장동 일당 1심 판결에 항소를 포기한 데 대한 파장이다.
초점은 엇갈렸다. 여당은 대검 지휘부 결정에 반발한 수사팀을 조사 대상으로 언급한 반면 야당은 외압이 있었다는 걸 전제로 대장동 사건 자체에 대한 조사를 요구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9일 기자간담회 중 "대장동·대북송금 검찰 수사에 대한 국정조사·청문회·상설특검을 적극 검토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기자들이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가 국정조사를 언급했다'고 전하자 "오케이. 기꺼이 받겠다"라며 "국정조사 하자. 항명한 것에 대해서"라고 답했다.
검찰 수사팀이 항소 포기 결정에 반발한 것과, 대장동 민간업자인 남욱 변호사가 진술 강요 의혹을 폭로한 대목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김 원내대표는 나아가 개인 의견을 전제로 "상설특검으로 바로 가고 싶다"면서 "검찰의 행태에 대해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많이 참아 왔다. 이번엔 넘어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반면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별도 기자간담회에서 김 원내대표 발언을 거론하며 "좋다. 국정조사부터 진행해서 대장동 비리의 전모를 낱낱히 밝히길 제안한다"고 맞받았다.
이어 "항소포기 외압은 누가 왜 행사했는지 진상을 규명할 것을 민주당에 제안한다"며 "그걸 알기 위해 대장동 사건 자체부터 국정조사를 하든 특검을 하든 해야 한다는 게 국민의힘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당 소속 법사위원들이 지도부에 정성호 법무부장관 고발을 건의한 데 대해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필요한 경우 고발이나 탄핵 등 필요한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여야가 이렇게 앞다퉈 국정조사를 제안하면서도 조사 대상에 대한 엇갈린 시선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실제 국정조사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장동 사건에 대해서도 여야는 지난 2022년 대선 전부터 틈만 나면 국정조사를 주장해 왔지만 그때마다 조사 범위 등을 합의하지 못하고 공방만 반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