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의 스마트폰을 개통한 뒤 허위로 분실 신고를 내 보험금을 챙기고, 이를 대포폰으로 만들어 해외 범죄조직에 밀수출한 조직이 경찰에 붙잡혔다.
전남경찰청 형사기동대는 사기,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등의 혐의로 총책 A씨(42) 등 60명을 검거하고, 이 가운데 7명을 구속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 2024년 12월부터 지난 6월까지 휴대전화나 가전제품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불법 대출 형태의 이른바 '내구제 대출' 광고를 통해 대포폰 명의자를 모집했다. 이후 명의자 이름으로 다수의 스마트폰을 개통한 뒤 허위로 분실 신고를 내 보험금을 편취하고, 이를 해외 범죄조직에 넘긴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시가 4억 원 상당의 장물 휴대전화 256대를 압수하고, 범죄수익금 28억 2천만 원을 기소 전 추징·보전 조치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서울·인천·대구·광주 등 전국 각지에서 통신사 대리점과 대부업체를 운영하며 불법 광고를 통해 명의자를 모집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게 불법으로 유통된 대포폰은 보이스피싱, 마약 유통, 불법 투자 리딩방, 사금융 등 각종 범죄 수단으로 악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경찰청 관계자는 "대포폰·대포통장 등 범죄 수단의 생성과 유통을 근절하기 위해 단속을 강화하고, 범죄수익을 철저히 추적해 피싱 범죄로부터 도민의 안전을 지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