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교육부·국립대병원 "이관 후 세부 지원방안 논의"

신분변동 등 사실과 다른 현장 우려 해소 위한 소통 이어가

연합뉴스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국립대학병원들이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구체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복지부는 지난 10일 오후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 제3·4차 회의를 열고 국립대학병원 역할 강화 및 교육·연구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립대학병원의 소관부처가 복지부로 이관된 이후의 운영체계, 교육·연구 기능 강화 방안, 규제개선 등 구체적인 지원 대책이 논의됐다.

복지부와 교육부는 앞서 열린 협의체에서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국립대병원 임상·교육·연구 포괄 육성방안을 제시했으며, 이번에는 세부 실행방안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교육·연구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는 현장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부처 이관 이후에도 국립대병원의 교육 및 연구 인프라를 유지·확대할 수 있는 구체적 지원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복지부와 교육부는 협의체와 별도로 각 국립대학병원을 직접 방문해 구성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부처 이관 이후의 지원 로드맵을 설명하는 한편 신분변동 등 사실과 다른 현장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복지부 이형훈 제2차관을 비롯해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 교육부 윤혜준 의대교육기반과장, 충남대·경북대·전북대·강원대병원 병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형훈 복지부 2차관은 "지금은 지역·필수·공공의료 위기의 골든타임"이라며 "국립대학병원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해법을 적시에 추진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교육부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은 "소관부처 이관 후에도 국립대학병원의 지원을 위해 양 부처가 계속 협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