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7만% 고금리 대출 "못 갚으면 영상 유포"…피해자만 553명

경기남부청, 불법 대부업 일당 29명 송치
사회 초년생 등 서민 553명 상대로 18억 원 갈취
채권 추심 과정에서 영상 유포 등 협박도

500여 명을 상대로 최대 7만 3%의 고금리 대출업을 한 불법 대부업체 검거 모습.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등록되지 않은 대부업 사무실을 차려 사회 초년생과 주부 등 500명 넘는 시민에게 최대 연 7만 3천%의 고금리 이자를 받아 18억 원을 가로챈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경기남부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불법 대부업체 총책 A씨 등 29명을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 위반,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범죄단체 등의 조직 등 혐의로 붙잡아 이들 중 4명은 구속 상태로, 25명은 불구속 송치했다고 11일 밝혔다.

A씨 등은 지난해 6월부터 지난 7월까지 1년 넘게 경기 남부 지역에서 미등록 대부업 사무실을 운영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피해자 553명에 소액 대출을 한 뒤 법정이자율인 20%를 초과한 연 238%에서 최대 7만 3천%의 고금리 이자를 받아 18억 원가량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A씨 일당은 중고등학교 동창 사이로 대출이 어려운 사회취약계층이나 사회 초년생, 유흥업소 종사자 등을 노렸다.

불법 대부 중개업체를 통해 대출자 정보를 취득하고 대포폰으로 자신의 업체를 비대면 대부업체라며 2~30만 원의 소액 대출을 권했다.

피해자들이 받은 대부업자의 협박 연락.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그러나 원금 포함 이자를 일주일 이내 상환하지 못하면 1일 연체 비용으로 매일 원금의 40%를 이자로 내거나, 일주일 연장 조건으로 원금은 상환하되 추가 이자를 계속 상환받는 등 지속적으로 이자를 요구했다.

또 대출을 위해 가족과 지인 연락처, 지인 담보로 대출받았다는 내용이 담긴 대출자의 동영상, 네이버 클라우드 저장 연락처를 받아 불법 채권추심을 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했다.

피해자들은 변제기일을 맞추지 못할 경우 가족을 해치겠다는 협박을 받거나 SNS에 제출한 영상 등이 올라가는 상황을 겪었다.

30대 피해자 B씨는 의사로 근무하던 중 채무 사실을 병원 납품 업체가 알게 되고 어머니가 운영하는 약국을 문 닫게 하겠다는 협박을 받으면서 자해를 시도하다 응급실에 이송됐다.

또 다른 30대 피해자 C씨는 결혼을 앞둔 예비 신부 측이 채무 사실을 알아 파혼하고, 직장 동료들이 추심을 받는 등 피해를 보면서 회사에서 해고됐다. C씨는 세 차례의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하던 중 경찰에 의해 발견됐다.

A씨는 일당은 자금을 세탁하는 역할의 일당을 추가로 포섭해 영업점을 늘리기도 했다. 이들은 서로 가명으로 호칭을 부르고, 업무용 휴대전화를 항상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등 행동 수칙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조직원은 주민등록증을 촬영해 "외부에 발설하면 조선족을 불러 집으로 찾아가 손가락을 잘라버리겠다"는 협박을 받았다.

경찰은 지난 1월 "불법 대부 사무실 채권 추심 과정에서 협박해 채무자가 극단적인 선택을 할 것 같다"는 첩보를 입수하면서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일당 29명을 검거한 뒤 범죄수익금 6억 원 상당을 기소 전 추징·보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자금을 대준 상선에 대해 수사를 확대하는 등 불법 사금융업 조직에 대해 엄정 대응하겠다"며 "법정 이자율을 넘거나 가족이나 지인 연락처를 요구하는 비대면 대부업체는 미등록 불법 대부 업체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의했다.

그러면서 "채무자 대리인 제도를 통해 대부계약의 무효화 소송 지원 등 구제받다"며 금융감독원을 통한 신청을 권고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