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사업'이 성과 분석 없이 추진돼 기후대응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광주광역시의회 이명노 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3)은 11일 열린 광주환경공단·기후에너지진흥원 행정사무감사에서 "상무지구에만 250억 원이 투입됐지만, 유출 저감량·오염 부하 저감 등 핵심 성과지표가 전혀 없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도로와 포장면이 많아 비가 와도 물이 땅에 스며들지 못하는 구조(불투수면)가 폭우·침수·열섬현상을 악화시키고 있다"며 "성과 없이 사업만 추진하는 것은 행정의 무책임"이라고 지적했다.
광주는 이런 '불투수면(不透水面)' 비율이 25.8%로 전국 상위 수준이지만, 사업 효과 분석 용역은 2025년 8월에 착수돼 결과는 민선 8기 종료 직전인 2026년 5월에야 나온다.
이 의원은 "250억 원을 들였지만 침수 저감과 기후리스크 완화 효과를 입증할 데이터가 없다"며 "정량평가와 LID(저영향개발) 정책 재설계, 관리 부담 완화 등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명노 의원은 "사업의 의미보다 효과를 입증할 검증 데이터가 중요하다"며 "광주는 더 이상 기후위기 대응을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