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내년 6월 치러질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조별 경선'을 포함한 새 공천룰 확정을 눈앞에 두면서 광주·전남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원 주권'을 내세운 정청래 대표 체제의 첫 지방선거인 만큼, 경선 룰의 세부 내용에 따라 지역 정치 지형이 크게 요동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권리당원 100% 1차 경선, 다자구도 땐 결선투표… '조별 경선' 도입 유력
12일 지역 정가와 더불어민주당 관계자 등에 따르면 민주당은 차기 지방선거를 위한 공천 심사기준과 경선 방식 논의가 막바지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당내에서는 관련 안이 일정 부분 공유되고 있으며, 공식 안이 확정된 뒤 최고위원회와 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쳐 이달 말쯤 최종 확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공식 초안이 시·도당에 내려간 것은 아직 아니다.
현재 논의 중인 공천안의 기본 틀은 1차 경선의 경우 해당 지역 권리당원 100% 투표, 2차 경선은 당원 50%와 국민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이다.
후보가 3명 이상인 다자 구도에서는 결선투표제 또는 선호투표제를 도입해 최종 후보를 가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특히 예비후보가 6명 이상 몰릴 경우 '조별 경선'을 도입해 A·B조로 나눈 뒤 권리당원 100% 투표로 본선 진출자를 압축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광주·전남처럼 군수·시장 선거 후보가 다수 출마하는 지역에서는 조 편성 결과가 곧 경선 구도를 좌우할 수 있어 정치권이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방의원도 당원경선 원칙… 권리당원 적으면 여론조사 병행
광역·기초의원 공천도 권리당원 경선이 원칙이다.다만 권리당원이 200명 미만인 소규모 선거구는 여론조사를 병행한 국민참여경선으로 전환할 수 있어, 농촌 지역 등에서는 지역 인지도와 민심이 더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비례대표 순번은 권리당원 100% 투표로 정해지며, 여성·청년·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가점 제도도 강화된다.
심사 기준 '당선가능성 30%'… 청년·여성·장애인 가점 확대
공천심사 항목 가운데 '당선가능성'이 3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정체성·도덕성·기여도·면접·의정활동 능력 등이 뒤를 잇는다. 청년(35세 이하)과 여성은 +25%, 정치신인은 +20%, 중증장애인은 +30%의 가점을 받는다.반면 현역 가운데 하위 20% 평가자, 탈당·공천불복 이력자, 중도사퇴자는 최대 25% 감점될 것으로 보인다.
컷오프는 최소화돼, 후보가 3인 이하인 경우 공관위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만 탈락시킬 수 있다.
광주·전남 "경선이 곧 본선"… 당원 중심 vs 민심 반영 논쟁 불가피
광주·전남은 민주당의 절대적 지지 기반 지역으로, 사실상 경선이 곧 본선을 결정짓는다.이 때문에 권리당원 100% 경선이 민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조직력이 강한 계파나 후보가 당원 대거 모집으로 경선을 장악할 수 있다"며 '폐쇄형 경선'의 부작용을 지적한다.
반면 당 지도부는 "당원의 힘으로 후보를 결정하는 게 정당 민주주의의 출발점"이라며 당원 중심 경선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
후보자들 "계산 복잡"… 현역엔 부담, 신인엔 기회
광주·전남 예비후보들은 "이번 룰은 조직력과 민심, 두 축을 모두 잡아야 생존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1차·예비경선은 당원 표심이, 최종 본 경선과 심사는 여론조사 경쟁력이 핵심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현역 의원들은 하위평가 감점과 공천불복 경력 불이익에 긴장하고 있으며, 청년·여성·신인 후보들은 가점 확대를 기회로 삼고 있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광주·전남에서는 '당원 중심 경선'이 공정하게 운영되느냐가 향후 지방선거 분위기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달 안으로 공천 규정을 확정해 각 시·도당에 통보할 계획이다.
'조별 경선'이라는 새로운 룰이 도입될 내년 지방선거에서 광주·전남 정치권의 세력 재편이 어떻게 전개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