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장관 "대미 관세 합의로 불확실성 해소…경쟁력 강화해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12일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산업통상부 정책자문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 들어 첫 산업통상부 정책자문위원회가 12일 공식 출범했다. 산업부는 현장 중심의 산업·통상 정책을 강화하고, 인공지능(AI) 전환과 지역 성장, 경제안보 등 핵심 과제별 민간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겠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주재로 정책자문위원회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위원회는 인공지능(AI), 경제안보, 산업금융, 지역, 통상, 자원 등 6개 분야의 국내 최고 민간 전문가 26명으로 구성됐다. 분야별로는 산업 11명, 통상 7명, 자원 8명이다.
 
김 장관은 회의에서 "대미 관세 합의로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된 만큼, 이제는 우리 산업의 근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며 "비상한 각오로 국민과 기업이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산업·지역·통상을 아우르는 산업통상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산업부 핵심 추진 과제를 중심으로 △제조업 AI 전환(AX) 확산 전략 △'5극 3특' 지역 성장엔진 구축 △경제안보 및 통상역량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최근 타결된 대미 관세 협상 결과와 반도체 산업 전략에 대한 전문가 의견도 수렴했다.
 
산업부는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의 자문을 적극 반영해 정책의 완성도와 품질을 높이겠다"며 "분야별 자문위원회를 정례화해 산업 현안에 대한 소통 채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