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화된 분당화력발전소의 시설 교체를 두고 발전소와 주민 간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발전소 측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밝혔지만 주민들은 사실상 증설 사업이라며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분당복합화력발전소입니다.
1993년 가동을 시작해 지난 30년간 경기 남부 일대에 전력을 공급해 온 이곳은 최근 설비가 노후화되면서 시설을 교체하기 위한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업에 발전 용량을 늘리는 증설 계획이 포함돼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백재호 성남시 분당구 주민: 분당화력발전소는 주민들의 건강에 위협이 되는 시설이다. 주민들은 발전소 측에 증설 계획이 있는지, 어떤 시설을 교체하는 건지, 연료로 무엇을 사용하는지 등 정보를 요구했지만 어떤 기본적인 정보도 제공받지 못했다. 그렇게 시간만 흐르다 보니, 결국 주민들이 아침마다 나와 시위를 시작하게 됐다.]
논란이 커지자 성남시는 지난 5월, 발전소 측이 제출한 도시계획시설 인가 신청을 반려했습니다.
그러나 발전소 측이 문제를 보완해 재신청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갈등은 더욱 커지는 분위기입니다.
광역단체로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행정적 조치가 필요하지만 경기도는 인허가 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겁니다.
도의회는 주민 편익 시설을 설치하거나 협의체를 운영하는 등 경기도가 적극적인 중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우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에 대한 피해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또 그에 따른 보상 체계 마련도 필요하다. 특히 소음, 분진, 배기열 등 환경과 관련된 수치를 실시간으로 공개해야 한다.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에 대한 신뢰를 회복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또 완충 녹지를 조성하고, 주민 생활 편익시설을 설치하는 등 보완책도 필요하다.
경기도는 사업자와 주민 사이에서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며,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분당화력발전소 현대화 사업이 논란을 넘어 상생의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