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재계 총수들을 만나 한미 관세·안보 분야 협상 결과물인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와 관련해 "앞으로가 더 중요하다"며 후속 논의에 나섰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 협상 후속 관련 민관 합동회의를 열고 "기업들이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전 세계를 상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정부의 주요 역할"이라며 "그 점에 대해서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등 기업인 7명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대통령실 관계자들이 배석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한미 협상 과정에서 여기 계신 분들을 포함한 기업인들이 가장 애를 많이 쓰셨다"며 "지금까지 정부와 기업이 이렇게 합이 잘 맞아 공동 대응한 사례가 없다고 하는데, 전적으로 기업인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 덕분"이라고 감사를 표했다.
이어 "국제 질서 변경에 따라 우리가 불가피하게 수동적으로 응할 수밖에 없는 협상이었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과정이었다는 점을 여러분도 잘 아실 것 같다"며 "그럼에도 남들이 예상하지 못한 성과를 내고 방어를 아주 잘 해낸 것 같다"고 했다. 이에 이재용 회장과 정의선 회장은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일부 걱정되는 측면이 있다"며 "대미 투자 강화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걱정들을 하는데 여러분이 잘 조치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대한민국 균형 발전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지방 산업 활성화를 위해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기업인들에게 규제 완화와 연구개발(R&D) 투자를 약속하기도 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용범 정책실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정관 산업부 장관. 연합뉴스
그는 "세금을 깎아가면서 사업을 해야 할 정도면 국제 경쟁력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그런 것보다 제일 필요한 게 규제 완화, 해제, 철폐 같다. 어떤 게 가능할지 구체적으로 지적해주면 신속하게 정리해나가겠다"고 제안했다.
또 "재정 투자도 마찬가지로 R&D나 위험 영역에 투자해 후순위 채권을 정부가 인수하거나 손실을 우선순위로 감수하는 식의 새로운 방식을 얼마든지 도입할 수 있다"며 "모험적인 투자도 강하게 할 수 있는 방식도 동원해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동시에 첨단산업 개발에 있어 "관용적이면 어떨까"라고 지적하고, 노사 관계를 두고는 "임금 착취라는 소리를 들으면서까지 노동 비용을 줄여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느냐"며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그는 "세금을 깎아가면서 사업을 해야 할 정도면 국제 경쟁력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그런 것보다 제일 필요한 게 규제 완화, 해제, 철폐 같다. 어떤 게 가능할지 구체적으로 지적해주면 신속하게 정리해나가겠다"고 제안했다.
또 "재정 투자도 마찬가지로 R&D나 위험 영역에 투자해 후순위 채권을 정부가 인수하거나 손실을 우선순위로 감수하는 식의 새로운 방식을 얼마든지 도입할 수 있다"며 "모험적인 투자도 강하게 할 수 있는 방식도 동원해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동시에 첨단산업 개발에 있어 "관용적이면 어떨까"라고 지적하고, 노사 관계를 두고는 "임금 착취라는 소리를 들으면서까지 노동 비용을 줄여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느냐"며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