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특별자유화구역인 제주에서 드론으로 물품을 배송하거나 실종사 수색을 하는 등 등 다양한 실증 사업이 진행됐다.
제주도는 지난 2021년 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2023년 2차, 올해 3차로 연이어 선정돼 2027년 7월까지 국토부 지정 전국 최대 891㎢에 걸친 드론 특구의 지위를 이어간다고 16일 밝혔다.
제주는 드론자유화구역이 된 이후 4년간 가파도 등 부속 섬에 대한 물품 배송을 비롯해 실종자 수색, 행사 안전 관리 등 29개의 드론 관련 사업을 진행했다.
올해는 유선 드론을 통한 안전 모니터링과 드론 활용 관광, 실종자 수색 드론 항로 제작 등이 이뤄졌거나 추진 예정이다.
우선 제주도내 축제·행사 등의 안전 모니터링을 위해 6시간 이상 체공 가능한 유선 드론을 투입했다. 실시간 모니터링과 인공지능(AI) 기술로 인파 밀집도와 행사 참여 인원수를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제주도는 2024년 '제주 워터밤'을 시작으로 총 12개의 축제에 6시간 이상 체공할 수 있는 유선 드론을 투입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인파 밀집도, 행사 참여 인원수 등을 분석했다.
드론과 도심항공교통(UAM) 관광 활성화를 위해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체험도 진행됐는데 드론 체험은 실시간 통신으로 드론 움직임에 맞춰 흔들리는 의자에 착석한 참가자가 증강현실(AR) 기기를 통해 짐벌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 시청하는 방식이다.
또 제주 부속 섬 생활 물류 개선을 위해 지난 5월부터 약 170회의 드론 비행으로, 330개 물품을 배송하는 등 실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하고 있다.
부속 섬으로 배송되는 물품은 배달 음식, 택배, 개인물품 등이며, 본섬으로 나오는 역배송 물품으로는 각 섬의 해산물인 새조개, 물회, 자숙소라, 성게알 등이다.
실종자 수색 드론 항로 제작 사업도 올해 안에 2차례 실증 사업이 추진된다. 제주도내 주요 실종자 발생지역인 오름과 해안가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종의 드론에서 활용 가능한 수색 항로를 제작해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수색 활동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한편 드론특별자유화 구역 내에서는 드론 시험비행 허가, 안전성 인증, 비행 승인, 전파 적합성 평가 등의 절차가 간소화되거나 면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