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묘 앞 재개발을 두고 영향평가를 꼭 하라는 유네스코 요구에 대해 서울시가 부정적 입장을 유지했다.
서울시는 대신 국가유산청이 제안한 회의에는 참여하겠다며, 그 자리에 지역 주민도 함께 넣어달라고 제안했다.
서울시는 17일 이민경 대변인 입장문을 통해 "국가유산청이 종묘 경관이 망가질 수 있다고 계속 주장하는 것은 과하다"며 유감을 표시했다.
이는 국가유산청장이 "유네스코가 영향평가를 반드시 하라고 했다"고 밝힌 데 대한 반응이다.
서울시는 또 국가유산청이 최근에서야 세계유산영향평가의 조건이 되는 '세계유산지구'를 지정했다며 "서울의 특정 재개발 사업을 겨냥한 것처럼 보인다"고 반박했다.
이어 종묘가 세계유산이 된 지 30년이 지났는데도, 보호기준이 되는 '완충구역'을 정하지 않은 것도 문제라고 비판했다.
재개발 사업 자체에 대해 서울시는 "남산부터 종묘까지 이어지는 녹지 흐름을 살리고, 종묘와 어울리는 건물 디자인을 이미 검증했다"며 "종묘가 세계유산을 잃을 것처럼 말하는 건 잘못"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관계기관 회의는 환영한다면서도 "오랫동안 개발이 지연돼 피해를 본 종로 주민들도 참석해야 한다"며 "한쪽 의견만 듣지 말고, 주민·전문가·정부가 함께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끝으로 "문화유산을 지키는 일과 도시 발전은 둘 다 중요하다"며 국가유산청의 책임 있는 협조를 다시한번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