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에 MZ세대가 갖출 역량은…"거부감보단 적극 활용해야"

전북CBS 주최, 전북대서 AI포럼

안내 포스터. 전북대 제공

나날이 발전하는 인공지능(AI)의 홍수 가운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AI시대 갖춰야 할 역량이 무엇인가 제시하는 강연이 열렸다.
 
전북CBS는 17일 오후 전북대학교 인터내셔널 센터 동행관에서 <AI 시대, 너의 일은 안녕하신가요?>라는 주제로 특강을 열고 AI시대에 부상하고 쇠퇴하는 산업과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대학생들이 무엇을 준비해야하는지 등을 전했다.
 
이날 연사로 나선 조재혁 전북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교수는 "AGI(인공일반지능) 시대를 앞두고 전세계적으로 AI 대전환이 벌어지고 있다"며 "물거품론도 있지만 분명한 변화는 이뤄지고 있다"며 강의를 시작했다.
 
조재혁 전북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교수가 강연 중이다. 심동훈 기자

조 교수는 "AI 시대 속에서 노동 시장은 불안정해지는 영역 중 하나다"라며 "AI 시대 인간이 집중해야 할 영역은 고부가가치 사업, 예를 들면 문제를 정의하거나 창의적 판단이 이뤄지는 영역일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AGI 시대의 장점으로 인간이 갈망했던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조 교수는 "인간은 우주의 생성 원리를 알고 싶어하거나 불치병을 낫게 할 메커니즘 등을 찾고자 한다"며 "AGI는 복잡한 모델을 분석하고 시물레이션을 돕기에 인간의 한계를 넘고, 풀지 못한 난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뇌는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인공지능은 기억력과 저장용량이 인간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세컨드 브레인'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며 "미래에 살아남기 위해선 AI를 활용하고 증강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 PD의 강연을 듣고 AI 툴을 활용해보는 학생. 심동훈 기자

이날 강연에서는 AI 기술의 전망을 설명하는 강연에 이어 직접 AI 툴을 활용해보는 강연도 이어졌다.
 
이란 주제로 강연에 나선 김현 EBS PD는 Gemini(제미나이)나 Grok(그록) 등의 인공지능 툴을 활용해 만든 단편 영화를 학생들에게 시연하며 AI 기술이 방송 편집과 영상 제작 등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제시했다. 
 
김 PD가 직접 제작한 안중근 의사의 일대기를 담은 <뤼순에서>라는 영상이 상영될 때 학생들은 저마다 영상의 생생함과 자연스러움에 감탄하기도 했다. 
 
그는 "아직 AI를 전적으로 의존하며 활용하기엔 부족함이 있다"며 "그러나 지금 연습하지 않으면 많이 뒤처질 것이다"라며 AI활용 역량의 중요함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마음 속의 장벽을 깨고 하나하나 연습해보면 AI는 유능하고 효율적인 조수로서 자신의 역할을 십분 다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현 PD가 자신이 AI 툴을 활용해 만든 단편영화 <뤼순에서>를 선보이고 있다. 심동훈 기자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