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 어르신 5명 가운데 1명이 노인 일자리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로 평균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또 전북자치도는 광역시를 제외한 도 단위 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비율의 예산을 노인 일자리에 투입하고 있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2026년 전북 지역 노인 일자리 배정 인원은 8만 9633명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 45만 4045명의 19.7%다. 이는 전국 최고 수준이며 전국 평균(9.3%)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이처럼 높은 참여율은 전북도의 공격적인 예산 투입이 뒷받침됐기에 가능했다. 전북도는 광역시를 제외한 도(道) 단위 중 유일하게 노인 일자리 사업 예산의 20%를 도비로 부담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15%)보다 5%p 높은 수치이며, 충남·전남(15%), 강원(10%), 경기(7.5%) 등 다른 도를 크게 앞선다. 2026년 기준 총예산은 4242억 원이며, 이 중 순지방비는 2121억 원으로 서울, 경기에 이어 전국 3위 규모다.
전북은 양적 성장과 함께 '전북형 일자리 모델'을 통한 질적 성장도 동시에 이뤄내고 있다. 단순 소득 보전을 넘어 어르신의 사회 참여와 자아 실현을 돕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역량 활용형' 일자리의 급증이다. 베이비붐 세대와 신노년층의 전문성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이 유형은 2023년 8262명에서 2026년 2만 1063명으로 4년 새 2.5배 이상 늘었다. 이는 노인 일자리가 '단순 노동 중심'에서 '사회적 기여와 자아 실현의 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변화로 꼽힌다.
전북도는 체계적인 안전 관리 기반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684명의 '시니어 안전 모니터링단'이 현장 위험 요소를 점검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전담 안전 관리 인력 50명을 신규 배치할 계획이다. 또한 내년 3월 본격화되는 '통합 돌봄 체계'와 연계해 돌봄·안전·생활지원 분야의 일자리를 새롭게 발굴, 확대할 방침이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어르신이 존중받고 활기차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전북이 고령친화 사회의 표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