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핵없는 한반도, 포기해선 안될 절대적 과제"

조현 외교부 장관. 황진환 기자

조현 외교부 장관은 18일 "핵없는 한반도는 포기해선 안 될 절대적 과제"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국립외교원에서 개최된 '서울외교포럼 2025'에서 윤종권 외교부 국제사이버협력대사가 대독한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이 안보 측면에서 가장 우선시해야 할 과제는 전쟁을 예방하고 한반도가 무력충돌의 촉발점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한국 정부는 단계적 접근을 통해 북한 핵무기 고착을 막고 이를 축소하고 궁극적으로 폐기함으로써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은 한미연합태세를 기반으로 방위 역량을 확고히 강화할 것이라면서도 "이런 조치만으로 충분치 않고 이와 함께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고 긴장을 완화하며 북한과 대화를 복원하는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북한의 증가하는 핵·미사일 위협에 더해 자국 우선주의 기조와 지정학적 경쟁 소용돌이 속에서 "한국은 점점 더 복잡한 전략적 계산에 직면해있다"며 "국익에 기반한 실용외교정책을 추구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한국에 필수적 과제"라고 짚었다.

조 장관은 "평화 공존을 위한 노력은 한반도에만 국한돼선 안 되며 우리 지역에서 대립 블록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역내 안정을 위해 한미일 협력과 더불어 한중일 협력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진 세션에서 패널로 참석한 미즈시마 고이치 주한일본대사는 "다자주의가 예전만큼 효력을 발휘할 수 없다면 작은 국가, 유사입장국끼리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좋은 대안"이라며 "이런 측면에서 한일은 앞으로 더 협력할 여지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는 중국과 미국이 대립 속에서도 협력한다면서도 "중국은 누구한테도 도전할 생각이 없으며 중국의 부상이 위협이라고 판단한다면 우리도 국익과 품격을 지킬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미중관계 전망을 묻자 "관세·무역·기술전쟁 같은 것은 원하지 않는다, 승자가 없다"며 "(향후 미중관계를) 조심스럽게 긍정하겠다"고 답했다.

다이 대사는 또 중국의 한반도 정책이 일관되고 명확하다며 "중국은 나름의 건설적 역할을 지속할 것"이라는 기존 정부 입장을 재확인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