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김 지사가 여론전에 나서면서 경찰의 최종 수사 결과에도 더욱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지사는 18일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수사는 6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서 도지사 죽이기를 위한 정치적 탄압이라고 생각한다"며 "명백히 저의 불출마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불법 녹취 사건을 뇌물 사건으로 만들기 위한 과잉 표적 수사라고 단정한다"며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일일이 열거하기도 했다.
김 지사가 불법 수사의 근거로 든 주장은 불법 취득한 블랙박스 녹취록으로 시작된 수사 개시, 이후 별건에 대한 4개월이 넘는 먼지털이식 수사 등이다.
그러면서 압수수색 일정 유포, 수사 진행 과정 보도, 녹취 파일 공개 등이 이뤄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지사는 "수 없는 별건 수사가 먼지털이식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어떠한 직접 증거도 얻어내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경찰 수사에 조력자가 있지 않은 가 하는 강한 의심을 가지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찰 수사가 장기화되자 여론전을 통해 사법리스크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읽히고 있다.
충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김 지사가 지역 체육계 인사들로부터 거액의 뇌물을 수수했다는 혐의로 지난 8월부터 수사를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 이미 대법원에 재항고 이유서를 제출한 김 지사는 앞으로 수사의 위법 부당함을 주장하는 대법원 탄원서 제출과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 등도 예고했다.
특히 수사와는 별개로 내년 재선 도전의 의지까지 분명히 했다.
김 지사는 "경찰은 목표를 정해 놓고 하는 수사 말고, 조속히 수사를 마무리해 도정이 안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어떤 일이 있더라도 불의에 굴복하지 않고 도민들이 허락해준다면 피선거권이 있는 한 출마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정치탄압 수사라는 김 지사의 주장에 대해 경찰은 아직까지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은 가운데 최종 수사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