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환경운동연합 "침수 피해 원인, 준설 부족 아냐"

환경연합·공익연구센터 블루닷, 대전 폭염·폭우 위험도 분석 결과 공개
"대전시, 근거 없는 토목식 대책을 중단하라" 촉구

준설과 침수지도. 대전환경운동연합 제공

대전환경운동연합이 대전시의 '하천 준설 확대'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환경연합은 19일 논평을 내고 "기후위기를 허울로 삼는 대전시의 대규모 토목준설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비판했다.

앞서 대전환경운동연합과 공익연구센터 블루닷은 지난 12일 '기후취약지도로 본 대전시 기후재난과 대응과제 토론회'를 통해 대전 전역의 폭염·폭우 위험도를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환경연합은 이를 토대로 "최근 대전에서 발생한 침수 피해는 하천 준설 부족 때문이 아니라, 도시 구조와 사회적 취약성이 결합된 결과"라며 "기후위험지도 분석 결과, 침수 피해가 발생한 지역 다수는 이미 준설이 이뤄진 구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피해는 하천이 아닌 생활공간 내부, 아파트 지하주차장, 반지하, 저지대 도로 등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면서도 "대전시는 여전히 '준설확대'를 주요 대응책으로 내세우고 있다"고 꼬집었다.

대전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 6월까지 시비 171억 원을 들여 3대 국가하천 일원, 20개 공구에 걸쳐 준설 작업과 정비공사를 진행했다. 총 길이 20.7㎞ 유역에 퇴적토 50만 4천㎥를 준설하는 대규모 사업이었다. 지난 2023년에도 40억 원을 들여 1차 준설을 마친 상태였다.

환경연합은 "지금 할 일은 효과의 입증도 어렵고 과학적이지도 않은 준설이 아니라 지하·저층 주거지,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 위험 취약지에 대한 정밀 점검과 구조 개선"이라며 "도시 전체를 스펀지 형태의 흡수력을 높일 수 있도록 녹지를 훼복하고 습지를 복원하고, 하천을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하천 주변 저지대 배수체계를 개선하고, 소규모 펌프시설 · 비상전력체계를 확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