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의 법률적 명칭에 '광주'나 '민중' 등을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 지역 5·18 관계기관 12곳으로 구성된 5·18 광주협의체는 18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 4층 시민마루에서 토론회를 열고 5·18의 새로운 명칭을 논의했다.
개헌과 함께 헌법 전문에 5·18 정신을 수록하는 문제가 큰 관심사로 떠오를 전망인데, 이때 필연적으로 대두할 문제가 명칭일 것이라는 문제의식 때문이다.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최영태 전남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는 "5·18의 명칭으로 '5·18광주항쟁' 혹은 '5·18 광주민주항쟁'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최 명예교수는 "1990년대 초반부터 일부 민주화세력은 5·18의 명칭에서 '광주'를 빼자는 주장을 했고 결국 광주라는 이름은 삭제됐다"며 "그런데 역사적 사건의 지역적 범위가 한정되었다면 도시나 특정 지역이 명칭에 포함되는 것이 외국에서도 일반적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5·18이 정신과 이념은 세계사적 보편성을 가지고 있어 외국인들이 기억하고 계승하기 좋은 명칭을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광주라는 브랜드는 자유와 민주와 인권, 평화 운동의 결과물로 획득한 브랜드인데 이 고귀한 명칭을 광주 스스로가 포기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5·18 과정에서 노동자, 농민, 빈민 등 기층민중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나 "민중항쟁과 같은 계급적 성격보다는 '항쟁' 혹은 '민주항쟁' 등의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국민적 합의를 끌어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발표를 맡은 유봉식 광주진보연대 상임대표는 "민중항쟁이라는 표현이 5·18의 역사적 시레를 가장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 대표는 "헌법 전문은 특정 사건을 단순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정통성과 가치 체계의 근원적 신념을 밝히는 공간"이라며 "5·18이 한국 민주주의의 뿌리라는 점을 강조할 때 민주주의는 민중 주권, 국민의 집합적 힘을 기반으로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중'이라는 용어가 이념적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민중'이라는 표현은 당시 참여 계층을 가장 중립적이고 사실적으로 규정한 역사학적 용어"라면서 "이념이 아니라 당시 시민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표현"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