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美에 1.4조, 국내 4조 투입…비만약도 만든다"

19일 온라인 간담회에서 4분기 전망 등 밝혀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이 미국 공장 인수 및 증설에 1조4천억원을, 국내 생산 증설에는 4조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사중 작용 비만 치료제 등 신약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은 19일 온라인 간담회에서 "미국 생산기지를 확보해 미국 시장에 공급되는 의약품 관세 리스크를 해소하고 글로벌 수요 확대에 대응하겠다"며 "미국 공장 인수 및 운영에 7천억원, 증설에 7천억원 등 총 1조4천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 소재 일라이릴리 바이오 의약품 생산 시설 인수는 올해 안에 마무리된다. 우선 1차 증설로 3년에 걸쳐 1만1천ℓ 배양기 3기를 추가하고, 이후 미국 내 제품 수요 상황을 고려해 2차로 1만1천ℓ 배양기 3기를 추가해 총 6만6천ℓ 증설을 5년에 걸쳐 진행할 계획이다. 증설이 마무리되면 생산 능력은 13만2천리터로 확대된다.

국내 신규 생산시설 추가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 송도 캠퍼스 내 건설 중인 액상 완제의약품(DP) 공장에 더해 △신규 원료의약품(DS) 공장(인천 송도) △신규 완제의약품(DP) 공장(충남 예산) △신규 PFS(Pre-Filled Syringes, 사전 충전형 주사기) 생산공장(충북 오창) 등을 건설할 계획이다.

국내 생산시설 증설에만 약 4조원이 투입된다. 국내외 투자 균형을 확보하는 동시에, 국내 투자 확대를 기반으로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서 회장은 "2030년이 되면 캐파가 부족해 18만ℓ 시설을 늘려야 하는데 CDMO 사업까지 하려면 2배인 36만ℓ 짓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며 "액상 완제 공장 증설 등을 고려할 때 총 4조원 정도 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바이오시밀러 확대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이미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허가를 확보한 11개 제품을 포함해 2038년까지 총 41개의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 중 2030년까지 7개의 신규 바이오시밀러를 추가 출시해 총 18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상업화할 계획이다. 목표 제품은 △키트루다(흑색종) △코센틱스(건선) △오크레부스(다발성경화증) △다잘렉스(다발성골수종) 등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항체-약물접합체(ADC) 및 다중항체 신약의 경우 올해 임상 단계에 돌입하는 4종을 포함한 총 10종 이상의 물질에서 출발해 2027년 총 20종의 파이프라인으로 개발이 확대될 전망이다.

비만치료제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현재 개발 중인 비만 치료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을 포함한 2~3중 작용제가 주류인데, 이를 넘어 4중 타깃이 동시에 작용하는 모델로 개발될 예정이다. 4중 작용제 방식으로 개발 중인 비만 치료제 'CT-G32'는 근손실 부작용 개선 등 기존 치료제와의 뚜렷한 차별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서 회장은 "위고비 시대는 오래가지 않고 먹는 경구용으로 넘어갈 것"이라며 "기존 비만치료제의 가장 큰 부작용이 근육 감소 현상인데 부작용을 줄이며 경구용으로 가야 한다. 기존 제품 대비 효능이 우수한 물질을 확보했으며 내년에는 전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은 올 4분기를 기점으로 실적을 대폭 늘릴 방침이다.

서 회장은 3분기 대비 큰 폭 성장한 매출과 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3분기 대비 최소 30% 이상 신장된 매출액, 30%대 중반의 매출원가율, 40% 내외 수준의 영업이익률 개선 등을 기대했다.

서 회장은 "곧 릴리와 CMO 계약을 완료할텐데 미국 공장에서 릴리 제품을 생산하게 되면 운영상 원가 압박은 없을 것"이라며 "좋은 공장을 좋은 가격으로 인수했다. 4분기부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영업이익률을 견줄만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