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고조사위)가 12·29 여객기 참사 주요 사실관계와 기술적 쟁점을 검증하는 공청회를 열겠다고 예고했으나 유가족은 즉각 성명서를 발표하고 이를 규탄하고 나섰다.
사고조사위는 현재까지 진행된 12·29 여객기 참사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오는 12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 동안 진행하는 공청회는 주요 사실관계와 기술적 쟁점을 검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공청회는 조류·방위각시설·기체(엔진)·운항 총 4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되는데, 사고조사위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그동안 제기된 기술적 의문과 사실관계가 공개적으로 검증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더해 사고조사위는 이번 공청회에서 조사 결과를 체계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비행기록장치(FDR)과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분석자료 등 조사와 관련된 핵심 근거들을 최대한 제시할 계획이다.
그러나 유가족단체는 국토부 소속 사고조사위의 독단적 공청회 강행을 강력하게 규탄하며 조사 활동 전면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입장문을 내고 "국토부 산하 항공철도조사위원회는 독립해 투명하고 공정한 조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때까지 공청회나 중간보고 등 일체의 조사 활동을 즉시 잠정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사고조사위의 태생적 한계로 인해 조사의 중립성을 기대할 수 없고, 이는 조사가 진행되는 내내 유가족들에게 깊은 불신감의 근원이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청회는 이해 관계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사전에 듣는 제도로서 충분한 정보가 공개되고 참석자들이 의견을 준비할 합리적인 기회가 보장되어야만 그 취지를 달성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사고조사위는 정보를 전혀 공개하지 않으면서 형식적인 공청회를 강행하려 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