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부산 사립유치원 3~5세 전면 무상교육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우측에서 4번째)과 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우측에서 5번째) 등이 21일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추진 계획 발표했다. 부산시교육청 제공

부산지역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3~5세 유아는 내년부터 전면 무상교육 혜택을 받는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들은 보육료를 추가 지원받는다.
 
부산시교육청과 부산시의회는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줄이고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사립유치원 만 3~5세 유아학비를 표준유아교육비 수준인 월 60만 원까지 지원하기로 뜻을 모았다.
 
부산시교육청과 부산시의회는 21일 부산시의회 의장실에서 '2026년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전면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부산형 교육복지 정책을 제시했다.
 
이 자리에는 김석준 부산시교육감과 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 이복조 부산시의회 국민의힘 원내대표, 강무길 교육위원장, 강철호 운영위원장, 조상진 예결위원장, 김창석 교육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전면 추진'정책을 통해 현재 월 41만 원인 유아학비 지원금을 내년부터 19만 원 추가한 월 60만 원을 지원, 무상교육을 완성한다. 유아학비는 국가 수준의 공통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을 교육받는 데 드는 교육비를 말한다.

이로써 부산은 지난 2022년 무상급식 혜택을 유치원까지 확대하면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부산 전 학년 무상급식을 실시한 데 이어, 2026년부터는 사립유치원 전면 무상교육을 도입하며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부산 전 학년 무상급식과 무상교육 체계를 완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립유치원 학부모도  교육비 부담을 모두 해소하게 됐으며 이 같은 지원은 외국 국적 유아에도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된다.

이와 별도로 현재 월 5만원인 어린이집(4~5세)의 보육료 지원은 내년부터 6만원으로 1만원 인상된다.
 
부산시교육청은 이번 정책을 통해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학부모 부담을 전적으로 경감하며, 지역 간 교육격차를 완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성민 의장은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전면 시행과 어린이집 보육료 추가 지원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부산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모든 어린이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부산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김석준 교육감은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전면 시행은 부산형 교육복지를 새롭게 도약시키는 정책으로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학부모 부담을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부산의 모든 아이가 동등한 출발선에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