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가 예정된 폐막일을 하루 넘긴 22일(현지시간) 화석연료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없는 합의문을 가까스로 도출하고 막을 내렸다.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총회 참가국 대표단은 합의문 최종 문구를 놓고 2주간 협상을 이어간 끝에 예정된 회의 종료일을 하루 넘긴 이날 오전 공동선언문을 도출했다.
공동선언문은 해수면 상승, 폭풍, 가뭄 등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적응 재원을 2035년까지 현 수준의 약 3배로 늘리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한 지구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섭씨 1.5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의 '이행 가속화'를 목표로 하는 새로운 자발적 이니셔티브를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탄소세 같은 일방적인 무역 행동을 비판하며, 기후변화 대응 조치가 국제 무역에 있어 자의적이거나 부당한 차별 수단이 돼선 안 된다고 재확인하는 내용을 담았다.
앞서 이번 회의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석유, 석탄, 가스 등 화석연료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에너지 전환에 관한 사항을 합의문에 명문화할 수 있을지를 두고 국제사회 주목을 받았다.
2년 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개최된 COP28 기후 정상회의는 유엔 기후협상 역사상 처음으로 '화석연료에서 벗어나는 전환'을 한다는 합의를 한 바 있다. 다만 그 방법이나 시기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데는 이르지 못했다.
올해 COP30 회의에선 주최국인 브라질의 제안으로 화석연료 퇴출 로드맵 마련에 힘을 모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산유국들이 완강히 반대해 협의가 어려웠다.
브라질은 폐회 직전 화석연료에 대한 언급을 뺀 합의문 초안을 제안했지만, 유럽연합(EU) 국가와 아시아·태평양 도서국이 공개적으로 항의하며 막판까지 진통을 겪었다.
그러나 EU 국가 대표들이 밤샘 협상 끝에 기존 입장에서 물러나 절충안을 받아들이면서 최종 합의문 채택에 성공했다.
기후위기 대응에 목소리를 내 온 메리 로빈슨 전 아일랜드 대통령은 이번 선언문에 대해 "완벽하지 않으며 과학이 요구하는 것과 거리가 멀다"면서도 "그러나 다자주의가 시험받고 있는 시기에 국가들이 계속 함께 전진하고 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