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 전차 전력 58% 'K1' 성능개량 좌초 위기…"협력사 1조 피해"

K1E1 성능개량 사업 참여 업체 10곳 중 4곳 경남 포진
중소 방산업체 경영난 예상 "정부 예산안 반영 호소"
K2 전차 전면 교체까지 전력 공백 최소화 성능개량 필수

K1E1 전차. 현대로템 제공

우리 군 전차 전력의 60% 가까이 차지하는 주력 지상무기인 K1 전차의 성능개량 사업 예산이 내년 정부 예산안에 빠지면서 경남 지역 방산 협력업체들이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다. K1E1 전차의 성능개량 사업이 좌초된다면 최대 1조 원의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24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군은 30년 이상 운용해 노후화된 K1E1 전차의 창정비(방산 제품 해체 수리 후 신품 수준으로 복원하는 정비)와 성능 개량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10년 동안 1조 2천억 원을 투입해 포수조준경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등 K1E1 전차의 전투력을 최상의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생각이다.

현재 K1E1 전차는 우리 군이 보유한 전차 전력(1771대) 중 58%를 차지하지만, 주요 장비의 노후화로 성능 저하가 가속화하고 있다. K2 전차로 전면 교체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전력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K1E1 전차의 성능개량이 필수이며, 상시 전투준비 태세(파이트 투나잇)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러나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인공지능(AI)과 무인무기체계, 정밀타격시스템 등 첨단 전력을 우선한다는 기조에 따라 K1 전차의 성능 개량 예산이 모두 빠졌다.

현대로템의 중소협력업체들은 반발했다. 현대로템 중소협력업체협의회 소속 35개 협력사는 최근 국회 국방위원회와 예산결산위원회, 방위사업청에 K1E1 전차 창정비와 성능개량 예산을 반영해 달라라는 내용의 호소문을 전달했다.

국내 전차 전력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K1E1 성능개량 사업이 무산되면 국내외 정부가 유일한 수요처인 방산업계 특성상 제한적인 일감을 가진 중소 협력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현대로템과 K1 전차 관련 납품 1차 협력사는 117곳에 달한다. 이 중 경남 지역 협력업체는 전체의 40%인 47곳이다. 이들 업체는 현대로템과 30년 넘게 납품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일부 업체는 매출 대부분이 여기에서 나오고 있다.

협의회에 따르면, K1E1 전차의 성능개량 사업이 무산되면 최대 1조 원이 넘는 매출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창원의 방산 전장품 업체인 에이엠에스는 K1E1 전차의 성능개량과 창정비가 내년부터 진행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약 100억 원 규모의 시설 투자를 진행했고, 30억 원의 부품을 미리 발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업체는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게 돼 매출이 25%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차·3차 협력업체는 1천여 곳에 달해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방산 업계가 폴란드 수출로 활기를 띠고 있지만, K1 전차 협력사 중 일부는 K2 전차 부품을 생산하지 않아 매출 타격이 불가피하다.

방산업체는 "K1E1 전차의 성능개량과 창정비 사업은 연간 1천억 원이 넘는 매출이 발생하고 있어 중소 협력사에는 매우 중요한 생계 수단"이라며 "사업비 전액 삭감으로 중소업체 경영과 3만여 명의 직원의 생계가 위태로워졌다"고 우려했다.

이어 "K1 전차의 성능을 개량해 개발도상국에 수출도 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