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민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I 민생 10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AI 민생 10대 프로젝트는 24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제1호 안건'으로 논의됐다.
소비·생활과 사회안전, 국민편의 등 국민 효능감이 높은 분야에서 AI 기반 공공서비스를 선도적으로 도입하자는 취지라는 설명이다.
10대 프로젝트는 국민 인식과 요구 그리고 AI 도입 수요를 바탕으로 선정됐다.
정부는 "대국민 인식 조사를 통해 AI가 일상생활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분야를 발굴했으며, 전문가 자문을 통해 AI 도입이 시급한 분야와 국민 체감도가 높은 과제들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주요 과제로, '농산물 가격 알뜰 소비정보 플랫폼'을 통해 가격 정보를 기반으로 AI가 소비자 근처에 있는 최적의 농산물 구매처를 추천하고, 대체 식재료를 제시해 최근 폭등하는 농산물 물가에 대응해 가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AI 기반 보이스피싱 공동 대응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수집한 보이스피싱 데이터를 통신사·제조사·유관 기관 간 상호 공유하고 관련 회선·계정을 자동 차단하는 등 민간의 AI 기반 탐지 기능 고도화도 추진된다. 이를 통해 피싱에 악용되는 통신서비스 차단을 강화함으로써 날로 교묘해지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선제적, 능동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또, AI 기반으로 국민들의 세금 상담 대기 시간을 줄이는 'AI 국세정보 상담사'와 관심사·언어에 따라 AI가 맞춤으로 문화유산을 해설하는 '국가유산 AI 해설사' 등 과제도 AI 민생 10대 프로젝트에 포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민생 10대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하기 위해 각 부처와 협력을 강화하고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내년 말까지 각 프로젝트 과제의 데이터 구축 및 모델 개발을 완료하고, 2027년부터는 본격적인 서비스 확산에 나설 예정이다.
정부는 AI 민생 10대 프로젝트가 사회 각 분야에서 국민이 AI 혁신의 혜택을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AI 민생 10대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중장기 AI 기본사회 프로젝트'를 후속 추진해 AI를 기반으로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AI 기본사회를 적극 구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