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과학기술 인재 생태계를 혁신해 우수 인재를 국내에서 성장시키는 한편, 전략적으로 외국 인재도 국내에 유치해 과학기술 인재를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24일 정부는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과학기술 인재 확보 전략'을 의결했다.
정부는 '국가과학자' 제도를 도입해 우수 과학자와 공학자가 국가과학자로 성장해 갈 수 있는 안정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먼저, 정부는 2030년까지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업적을 보유한 '리더급 국가과학자' 100명을 선정해 영예와 안정적 활동을 보장함으로써 전 국민의 존경을 받는 과학자 위상을 확립할 방침이다.
내년부터 매년 20명씩 선정되는 리더급 국가과학자에게는 연구비와는 별도로 학문적·사회적 활동을 뒷받침하는 연구활동지원금이 연 1억 원 규모로 지급된다.
리더급 국가과학자에게는 연 1회 대통령과 대화, 공항 출입국 심사 패스트트랙 적용, KTX 운임 지원 등 혜택도 부여되며, 국가 R&D 계획과 제도 설계 시 기획 및 평가 위원으로 참여한다.
또, 성장 가능성이 높은 박사 학위 취득 7년 이내의 산·학·연 초기 연구자는 '젊은 국가과학자'로 선정해 '국가과학자지원금'을 제공하는 등 리더급 국가과학자로 도약을 지원한다.
젊은 국가과학자는 노벨상 등 세계적 과학상 수상 가능성이 큰 분야나 AI 등 국가 주력 산업과 직결된 분야 연구자 중에서 매년 세 자릿수 이상 선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분야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외국 우수 연구자 및 신진급 연구자 총 2천 명을 국내에 유치할 방침이다.
국내 유치 외국 연구자 후보군은 재외 한인 과학자 약 2만 5천 명과 외국인 과학자 약 5600명인데 정부는 국내 유치 연구자의 70%는 재외 한인 과학자로 충원될 전망이다.
정부의 이번 과학기술 인재 확보 전략은 과학기술-AI(인공지능) '융합인재' 양성에도 초점이 맞춰졌다.
이른바 '양손잡이 인재' 양성을 위해 이공계 학생·신진연구자들에게 AI 교육·연구·인프라를 확대 제공하고, 재직연구자들에게는 연구개발 전 과정에 AI를 접목하는 연구 패러다임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역 AX(AI 전환)기업-과학기술원 공동센터 운영과 과기원-지역대학 공동대학원을 통한 산업 연계 실무 교육 등 지역 산업 AX 허브로서 4대 과기원 역할도 강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