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시대…요양원 가고, 유니트케어 온다

서울시, '집 같은 안정감' 어르신 안심돌봄가정…연말까지 18개소 조성

안심돌봄가정 사례.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응해 기존 단체 수용형 노인요양시설 대신 '집처럼 생활하는 돌봄'을 제공하는 소규모 생활형 요양시설 '안심돌봄가정'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연말까지 총 18개소를 조성하고 내년에도 비슷한 속도로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안심돌봄가정은 5~9인이 생활하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방식으로, 가정 같은 환경 속에서 노인들에게 돌봄·요양·식사 등을 제공한다. 특히 2023년 서울시가 처음 도입한 '유니트케어(Unit Care)' 구조를 적용해 기존 복도식 기숙사 형태에서 벗어나 1~3인실 위주의 개인 생활공간과 공용거실을 분리했다. 이를 통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거주 어르신의 정서 안정과 자율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시설 기준도 강화됐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법정 1인당 면적 기준은 20.5㎡지만, 안심돌봄가정은 이보다 넓은 25.1㎡를 충족해야 한다. 서울시는 이러한 표준안에 맞춰 신규 시설 설립이나 기존 시설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 개소당 최대 2억 9,300만 원까지 사업비를 지원한다. 여기에 개소 후 3년 동안 최대 4,725만 원의 초기 운영비도 지원된다.
 
안심돌봄가정이 '서울형 좋은돌봄인증'을 받을 경우 연 최대 2,700만 원의 추가 보조금, 대체인력 지원, 복지포인트 등 혜택도 주어진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질 높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안심돌봄가정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어르신 한 분 한 분이 건강하게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돌봄 정책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