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직무유기' 조태용 전 국정원장 재소환…기소 임박

김건희–박성재 '부정청탁' 정황도 수사 중

조태용 전 국정원장. 류영주 기자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태를 수사하고 있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을 재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특검은 조 전 원장을 조만간 기소할 방침이다.

박지영 내란특검보는 26일 언론 브리핑에서 "오늘 오후 2시부터 조태용 전 국정원장을 소환해서 조사 중에 있다"며 "오늘 조사가 끝나면 금명간 기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특검은 조 전 원장이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으로부터 '계엄군이 이재명·한동훈을 잡으러 다닌다'는 보고를 받고도 국회에 알리지 않아 국정원장의 직무를 유기가 혐의가 있다고 본다. 홍 전 차장의 주장을 반박하는 과정에서 정치중립 의무를 위반한 혐의도 있다.
 
특검은 김건희씨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간 '부정 청탁' 의혹과 관련해서도 수사를 진행 중이다. 박 특검보는 "부정청탁금지법을 인지하고 수사하는 이상 구성요건에 해당돼야 한다"며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한 사안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검은 박 전 장관이 김씨의 청탁을 받아 지난해 명품백 수수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이던 서울중앙지검 지휘라인을 교체하거나 김씨에게 김찰의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수사 경과를 보고한 정황을 포착, 박 전 장관을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추가 입건했다.

앞서 특검은 김건희씨가 지난해 자신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박 전 장관에게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보낸 정황을 포착했다. 당시 이원석 검찰총장이 김씨에 대한 수사 의지를 드러내자 박 전 장관 주도로 검찰 고위간부 인사가 갑작스럽게 단행되면서 수사 지휘부가 대거 교체된 직후였다.

김씨는 해당 과정이 담긴 지라시를 박 전 장관에게 보냈는데, 특검은 이를 근거로 12·3 비상계엄의 목적이 김씨의 사법리스크 방어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박 전 장관도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본다.

한편 특검은 국가원장 법률특별보좌관을 지낸 김상민 전 부장검사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김 전 검사는 비상계엄 선포 직후 조 전 원장과 10여초간 통화했는데, 특검은 해당 통화기록을 확보해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